無배터리 시대 앞당기는 'IoT 무선 센서용 독립전원기술' 개발

순정우 / 기사승인 : 2018-04-05 15:05:0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자율 독립전원에 적용된 에너지 변환 소자의 개념도.[사진=과기부]

(이슈타임 통신)순정우 기자=류정호 교수 영남대학교 연구팀이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만 인식됐던 자기장 노이즈를 활용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기술이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인 사물인터넷(IoT) 무선센서 네트워크의 자율 독립전원으로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5일 밝혔다.


자율 독립 전원은 기존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대신 자체적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전시켜, 배터리 교체가 필요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기술이다.


이 연구결과는 에너지 환경 분야 학술지인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의 4월호 전면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다. 본 연구팀은 미세한 자기장변화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금속소재(자왜금속소재*(Ga-Fe 합금))와 변형이 생기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재를 결합하여, 일상의 자기장 변화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압전소재와 자왜금속소재의 결정방향*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지는 원리를 활용하여 자기장에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는 결정방향으로 두 소재를 제작한 뒤, 이 두 소재를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결합기술로 에너지 변환 소자를 설계됐다.


그리고 IoT 무선 센서를 배터리 없이 지속적으로 구동하기에 충분한 수준인 mW 이상의 직류 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성공하였다.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 김광호 단장과 영남대 류정호 교수는 “관련 기술에 대해 국내, 미국, 유럽, 일본, 중국에 특허권리를 확보하였다”며 “지금까지 배터리를 사용해서 동작시키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배터리 없이 반영구적으로 구동할 수 있을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에, 미래 4차 산업용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자율 독립전원으로 광범위한 활용이 기대된다.”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 연구성과는 과기정통부 글로벌프런티어사업을 중심으로, 창의형 융합연구사업, 재료연구소 주요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