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 |
(이슈타임)곽정일 기자=4차산업혁명의 핵심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 사업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찌감치 사물인터넷의 잠재성을 알아본 대기업은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움직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1월 `생활 속에 녹아든 사물인터넷(In Sync with REAL Life)`이라는 표어를 통해 사물인터넷 사업에 박차를 가했다.
TV, 가전, 모바일 등 삼성전자 제품과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해 TV를 카메라와 연결해 집 안팎의 모습을 모니터링하거나, 냉장고를 통해 단순히 식품 저장뿐만 아니라 구매와 배달, 나아가 음악과 라디오 TV까지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선보였다.
LG도 삼성전자와 비슷한 시기에 `스마트씽큐 허브(SmartThinQTM Hub)`를 통해 스마트 기능이 없는 일반 가전제품도 사물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 가전으로 바꿔주는 기술을 선보였다.
`스마트씽큐 허브`를 세탁기에 붙여놓으면 세탁기의 진동 상태 등을 감지해 세탁 종료 여부를 스마트폰으로 알려주고, 로봇청소기에 붙이면 위치 등을 추적해 로봇청소기의 청소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형태다.
반면 중소기업은 정부의 지원 미비 및 자원의 제약 등 때문에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도 및 대응이 현저히 떨어지는 형편이다.
사물인터넷의 특성상 사람과 직접 접촉하는 사물을 다루는 기술이기 때문에 안전문제가 가장 중요한 화두이다. 따라서 ▲ 디바이스 보안 ▲ 어플리케이션 보안 ▲ 클라우드 보안이 필수인데 이 3가지 사항을 연구하기위한 자본을 중소기업이 마련하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대기업들이 매출에 집중한 나머지 타 중소기업의 제품들과의 연결서비스를 융합하지 않으면서 중소기업의 사물인터넷 활성화는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물인터넷을 중소기업이 뛰어들려면 각종 연결되는 기술들과의 보안성을 협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안전성 테스트까지 수많은 과정을 지나야 한다"며 "이것을 중소기업이 하기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소기업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싶으면 정부의 정책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아직 제대로 된 지원정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뒤늦게 중소기업의 사물인터넷 사업 플랫폼 지원을 위해 `글로벌 IoT 시험인증센터`를 개설하는 등의 노력을 보였지만, 사업 예산 지원, 보안 시스템 개발 지원 등의 미비는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곽정일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16,131명 응시 2026학년도 수능, 대전교육청 빈틈없는 준비 완료
프레스뉴스 / 25.11.06

문화
해양수산부, 붓끝에서 피어난 우리 바다 해양생물 이야기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대구미래교육연구원, ‘미래형 수업사례 나눔 특강’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6

국회
경기도의회 김진명 의원, '청소년지도자 공적 실습 수련체계 구축' ...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홍천교육지원청,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교육혁신 역량강화 연수’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대구동부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창의적 산출물 발표회 성료
프레스뉴스 / 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