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현대해상) |
(이슈타임 통신)김혜리 기자=지난 25일 현대해상은 '불법주정차 사고규모 추정 및 감소방안 연구' 결과에서 최근 5년간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 발생빈도가 연평균 22.8% 늘고, 지급보험금은 27.7%나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현대해상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2013년 이후 발생한 교통사고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 17만5118건을 분석한 결과, 2017년 기준 전국적으로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 손실금액은 약 3600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25개구의 사고율과 지역별 도시교통 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상업·업무지역 주차장 확보율, Km 당 교차로 수, 무통제 교차로 수가 증가하면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업지역의 경우 화물차 수가 많고 주거지역 주차장확보율이 낮을수록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강남구의 경우 상업·업무지역 주차장확보율이 155.5%로 가장 높았으나, 주차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지역(1급지)으로 주차장보다 상업·업무 주변 이면도로에 주차하는 경향이 강했다.
공업지역이 존재하는 7개구(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도봉, 성동, 양천구)는 중차량(건설기계, 화물, 특수차) 사고가 전체사고 중 23.5%를 차지해 사고 발생 시 1건 당 지급보험금이 158만원으로 서울평균(126만원) 대비 1.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불법주정차의 시간대별 발생빈도는 비공업지역이 오후 14시~18시에 39.5%로 집중되고, 공업지역이 20시~24시 35.7%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야간사고(18~6시) 구성비는 비공업지역(32.2%) 대비 공업지역(41.2 %)이 8.9%p 높았다. 공업지역 내부 주차장 확보율이 낮아 야간 주거지역 이면도로에 주차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김태호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김태호 박사는 “불법주정차 사고규모 추정을 통한 진단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불법주정차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지역별 과태료 차등화 방안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혜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정치
김 총리, 울산화력발전소 매몰사고 긴급지시…"인명구조 최우선"
강보선 / 25.11.06

사회
보령시 식품안전관리 강화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 실시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부산진구 부산희망등대, ‘거리노숙인 특화자활사업’ 성과
프레스뉴스 / 25.11.06

국회
충청북도의회 정책복지위, 양성평등가족정책관·기획조정실 행감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안동시, ‘2025 경국대학교 글로컬 국제 백신 심포지엄’ 개최 지원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과천시, 수돗물 깔다구 유충 관련 비상대응 체계 가동…정밀 역학조사 및 24시간 ...
프레스뉴스 / 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