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사진=현대모비스] |
(이슈타임 통신)순정우 기자=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4차산업혁명시대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지원하고자 표준화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산·학·연·관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위해 자율주행차 표준기술연구회를 7일 개최한다.
표준기술연구회에서 각 기관은 자율주행차 산업의 국제 주도국 도약을 위한 한국산업규격(KS) 확충, 국제표준 제안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한다. 자율주행차 표준화 계획에 따라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을 2017년 말 93종에서 2021년 까지 200종으로 확대한다.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분야에 해당하는 운전자의 손과 발 접촉없이 자동으로 차선을 변경하는 자율차선변경시스템, 엔진제어·조향장치 등 차량 내부의 전자제어장치간의 1Gbps급 고속 광통신용 인터페이스, 차량무선통신(WAVE)을 활용해 고속 이동 중 끊김없는 차량간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차량‧사물통신(V2X) 표준 등을 한국산업규격(KS)으로 제정해 나갈 계획이다.
자율주행차의 디지털 부품, 센서 등 반도체 사용 증가에 따라 자동차 반도체 가이드라인 국제표준(ISO 26262-11)이 금년 6월경에는 제정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신속히 한국산업규격(KS)으로 제정하고 안내서를 제작래 배포토록 할 예정이다. 또한 차선유지보조시스템 성능평가 방법 등 우리나라가 제안한 11종의 자율주행차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발간되도록 국제회의 전문가 참가 지원 등 국제표준화 활동도 강화한다.
2018년에는 차량간 통신(V2V)을 이용한 협력형 차선내 부분 자율주행 시스템의 기능요건, 작동방식, 시험방법 등 3종의 국제표준도 신규 제안한다. 아울러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도로교통(ISO TC 22)의 5개 전문위원회, 지능형교통체계(ISO TC 204)의 5개 작업그룹에 국내 전문 대응기관을 지정해 국제표준개발에도 체계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표준기술연구회에서는 국가표준 확대, 국제표준화 활동강화, 민·관 협력 자율주행차 표준체계 구축과 더불어 연구개발(R&D)과제의 표준연계, 자율주행차 표준의 활용·확산 방안 등도 논의하며, 한국도로공사에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과 자율협력주행 추진현황도 발표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자율주행차 상용화 선도국 도약을 위해서는 범부처 및 민·관 표준화 협력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표준화 수요를 발굴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순정우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안산시, ‘ASV 내 국제학교 설립, 英 온들스쿨과 협력 기반 마련’
장현준 / 25.10.18
문화
신상진 성남시장, ‘제1회 신흥로데오 비어로드 야맥축제’ 개막식 참석
프레스뉴스 / 25.10.17
사회
진천교육지원청, 2025. 아이와 함께 자라는 슬기로운 행동중재 특수교육대상학생 ...
프레스뉴스 / 25.10.17
충북
충북 청주시 충청대학, 강사 채용 비리 및 법정 소송으로 논란 확산
장현준 / 25.10.17
사회
예천교육지원청, 2025 2학기 늘봄전담인력 연수 실시
프레스뉴스 / 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