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무기·핵 프로그램 폐기 촉구 공동성명 채택
(이슈타임)이갑수 기자=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에 동의하는 40여 개국이 북한의 핵실험을 규탄했다. 21일(현지시간) 제71차 유엔총회에 참여한 40여 개국 외교장관들은 CTBC 우호국 외교장관회의에서 북한의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 폐기를 촉구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120여 개국 대표가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 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은 21세기 핵실험을 한 유일한 국가"라며 2006~2016년 이뤄진 5차례의 핵실험을 언급한 뒤 "이를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2005년 6자회담 공동선언문의 의무를 완전하게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북한은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며, 관련 활동을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거듭 압박한 뒤 "우리는 북한 핵 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법의 필요성도 계속 강조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아가 "모든 국가는 핵무기 실험 및 핵폭발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유지하고, CTBT의 대상과 목적을 저해하는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미국과 일본, 독일, 캐나다, 네덜란드 등 10여 개 국가의 외교장관들은 별도 발언을 통해 북한의 도발 억제를 위해서라도 CTBT가 조속히 발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언에 나선 윤병세 외교장관은 "북한의 브레이크 없는 핵 질주가 국제사회가 직면한 이 시대의 가장 심각하고 급박한 안보 위협"이라면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은 북한의 핵 야욕을 꺾지 않으면 국제사회가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윤 장관은 "CTBT의 발효가 지연되면서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실험과 같은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CTBT는 1996년 합의됐지만, 아직 발효되지 않고 있다. 세계 183개국이 이 조약에 서명해 166개국이 비준했다. 조약이 발효되려면 원자력 능력이 있는 44개국의 서명"비준이 필요하나 이 중 8개국이 거부하고 있다. 북한, 인도, 파키스탄 등 3개국은 서명과 비준을 모두 하지 않았고, 미국"중국"이집트"이란"이스라엘 등 5개국은 서명했으나, 비준하지 않았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에 동의하는 40여 개국이 북한의 핵실험을 규탄했다.[사진=Yahoo news]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문화
35만 명이 찾은 원조 라면축제, 구미가 3일간 팔팔 끓었다
프레스뉴스 / 25.11.09

국회
경상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착수, 경영부터 미래전략까지 ‘정밀점검’...
프레스뉴스 / 25.11.09

사회
‘KTX 익산구간’ 2편, 광주광역시 송정역까지 증편 운행
프레스뉴스 / 25.11.09

연예
‘불후의 명곡’ 서문탁, 오은영 감성 건드린 ‘Imagine’ 열창...430점 ...
프레스뉴스 / 25.11.09

정치일반
김동연 “좋은 아빠가 되면 가정, 사회, 대한민국이 발전한다” ‘경기도 아빠스쿨’...
프레스뉴스 / 2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