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어깨뼈와 다른 부위의 골절 흔적 발견
(이슈타임)윤지연 기자=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루시'가 사망원인이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서 발생한 골절 때문이라는 가설이 제기됐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UT 오스틴) 존 카펠만 교수가 이끄는 연수팀은 과학저널 '네이처'(Natur)에 루시의 사망원인이 추락에 따른 뼈 골절과 장기손상으로 추정된다는 가설을 발표했다. 카펠만 연구팀은 논문에서 고해상도 CT(컴퓨터 단층촬영)를 이용해 루시의 화석을 분석해본 결과 오른쪽 어깨뼈가 부러졌고, 다른 골격들에서도 손상된 부위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가설에 따르면 루시가 나무 등 높은 곳에서 추락해 다리에 강한 충격을 받고 앞으로 쓰러지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지면에 팔을 뻗었다는 것이다.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지면에 팔을 대면서 어깨뼈를 비롯해 다른 골격들에서 골절이 생겼으며 이는 장기 손상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카펠만 교수는 '오른쪽 어깨뼈와 다른 부위의 골절로 미뤄 높은 곳에서 떨어져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같은 골절 패턴은 일반적으로 추락사에서 나타나는 유형'이라고 말했다. 앞서 카펠만 연구팀은 2008년 에티오피아 정부의 허가 아래 열흘간 루시의 화석에 대한 고해상도 CT 촬영을 했으며, 이후부터 본격적인 화석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고 신문은 전했다.' 루시는 1974년 미국의 인류학자 도널드 조핸슨 박사가 에티오피아 하다르 계곡에서 발견한 318만 년 전 직립보행을 한 최초의 여성 인류 화석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의 일부분이 발견되는 것과 달리 루시의 경우 40% 정도의 화석들이 발견돼 인체 형상과 당시의 생활 모습을 짐작케 한다.' 실제로 그녀는 침팬지처럼 짧은 다리와 긴 팔을 갖고 있었다. 척추에서 보이는 굴곡이나 납작하고 넓은 골반으로 미뤄 두 발로 걸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 키는 약 104.1㎝(3피트 5인치), 체중은 27.2㎏(60파운드)으로 밝혀졌다. 현재 초등학교 1학년생 정도의 몸집이다. 루시라는 이름은 화석 발굴 당시 유행하던 비틀스의 노래 '루시 인 더 스카이 위드 다이아몬즈'가 흘러나왔다 해서 붙여진 애칭이다.
루시가 추락으로 인한 골절로 사망했을 것이라는 연구 가설이 제기됐다.[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문화
35만 명이 찾은 원조 라면축제, 구미가 3일간 팔팔 끓었다
프레스뉴스 / 25.11.09

국회
경상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착수, 경영부터 미래전략까지 ‘정밀점검’...
프레스뉴스 / 25.11.09

사회
‘KTX 익산구간’ 2편, 광주광역시 송정역까지 증편 운행
프레스뉴스 / 25.11.09

연예
‘불후의 명곡’ 서문탁, 오은영 감성 건드린 ‘Imagine’ 열창...430점 ...
프레스뉴스 / 25.11.09

정치일반
김동연 “좋은 아빠가 되면 가정, 사회, 대한민국이 발전한다” ‘경기도 아빠스쿨’...
프레스뉴스 / 2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