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취약점 집중 공략하는 '회색 모자' 해커에 비용 지불 후 정보 입수
(이슈타임)신원근 기자=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애플의 지원 없이 범죄자의 아이폰 보안을 해제하기 위해 해커의 도움을 받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워싱턴포스트(WP)는 앞서 보도된 것처럼 FBI가 일본계 이스라엘 보안회사 셀레브라이트의 도움을 받은 것이 아니라 해커들로부터 정보를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커들은 미국 정부에 아이폰 보안의 취약점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일회성 수수료를 받았다. 이 해커들은 특정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집중적으로 찾아내 이에 대한 정보를 미국 정부나 기업 등에 판매하는 이들로 '회색 모자' 해커로 불린다. FBI는 해커들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이용해 아이폰 비밀번호를 10번 이상 잘못 입력하면 자료가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게 하는 보안기능을 무력화 했으며, 26분 만에 여러 번호를 조합해 네자릿수의 비밀번호를 풀어냈다고 WP는 전했다. 애플은 해당 정보를 제공해 달라며 정부를 상대로 한 고소 방침을 정했다가 철회한 상태다. 하지만 다수의 보안 전문가들은 정부가 보안 취약점에 대한 정보를 애플에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정부는 백악관 차원의 논의를 거쳐 해커로부터 입수한 아이폰 보안 허점 정보를 애플에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FBI가 아이폰 잠금 해제를 위해 해커들의 도움을 받았다는 주장이 나왔다.[사진=ABC news]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출근길 초겨울 추위...찬 바람에 기온 '뚝'
강보선 / 25.11.10

국회
경상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착수, 경영부터 미래전략까지 ‘정밀점검’...
프레스뉴스 / 25.11.09

사회
‘KTX 익산구간’ 2편, 광주광역시 송정역까지 증편 운행
프레스뉴스 / 25.11.09

문화
35만 명이 찾은 원조 라면축제, 구미가 3일간 팔팔 끓었다
프레스뉴스 / 2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