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브란트 화풍으로 그리라"는 명령에 유화 질감까지 재현
(이슈타임)이갑수 기자=알파고와 같이 '딥 러닝' 기술을 탑재한 인공지능이 바로크 시대의 거장 렘브란트의 화풍을 그대로 재현해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영국 매체 BBC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네덜란드 기술자들이 공동 개발한 AI가 이러한 성과를 이뤄냈다고 보도했다. 이 AI는 렘브란트의 작품 여러 점을 입력해 분석하고, 딥러닝 기술을 통해 렘브란트 그림의 특징들을 학습하는 식으로 그림 실력을 키웠다. 이는 마치 구글 알파고가 지난 기보들을 통해 바둑 고수들의 특징을 학습한 것과 동일한 원리다. 개발팀은 150GB에 달하는 렘브란트의 그림 자료를 3D스캔 기술로 정교하게 디지털화한 뒤 컴퓨터에 입력했다. AI는 얼굴인식 기술을 활용해 그림 속 사물의 위치와 구도, 사용된 미술도구 등을 분석하면서 렘브란트 그림의 특징을 학습했다. 이후 개발팀은 이 인공지능에게 모자를 쓰고 하얀 깃 장식과 검은색 옷을 착용한 30~40대 백인 남성을 그리라고 명령했다. 개발팀은 '렘브란트의 화풍으로 그리라'는 명령 외엔 아무런 구체적인 지시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AI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렘브란트와 똑같은 화풍으로 남자의 초상화를 그려냈다. 3D프린팅으로 인쇄된 이 그림은 심지어 유화의 질감까지 똑같이 재현했다. 마이크로스프트와 네덜란드의 델프트과기대'렘브란트미술관 등은 2년 전부터 인공지능으로 렘브란트의 화풍을 재현하는 프로젝트를 설립하고 여기에 '넥스트 렘브란트'란 이름을 붙인 바 있다. 이 프로젝트의 컴퓨터 기술을 총괄한 임마누엘 플로레스 기술 감독은 '우리의 목적은 렘브란트와 똑같이 그림을 그리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었다'고 밝히며 '이런 작업을 통해 명작이 왜 명작인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AI를 딥러닝 기술로 학습시켜 유명 화가를 따라 하게 만드는 시도는 과거에도 있었다. 구글은 이미 수년 전부터 딥 러닝 기술로 인공지능에게 빈센트 반 고흐 등 유명 화가의 화풍을 학습시키려 시도했다. 특히 지난 2월엔 AI가 그린 그림으로 전시회를 열기도 했는데, 당시 구글과 함께 이 전시회를 주최한 비영리재단 그레이에리어 파운데이션은 전시품 판매 수익으로 9만7600달러(약 1억1265만원)를 벌었다. 그 중 가장 비싸게 팔린 그림은 하나에 8000달러(약 920만원)에 달했다.
인공지능이 렘브란트의 화풍을 그대로 재현해냈다.[사진=BBC]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출근길 초겨울 추위...찬 바람에 기온 '뚝'
강보선 / 25.11.10

문화
35만 명이 찾은 원조 라면축제, 구미가 3일간 팔팔 끓었다
프레스뉴스 / 25.11.09

국회
경상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착수, 경영부터 미래전략까지 ‘정밀점검’...
프레스뉴스 / 25.11.09

사회
‘KTX 익산구간’ 2편, 광주광역시 송정역까지 증편 운행
프레스뉴스 / 2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