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印 천체물리학자 공동 연구 네이처지 게재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등 외신들은 7일(현지시간) 오래된 별들의 무리인 구상성단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들이 숨겨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실렸다고 보도했다. 구상성단이란 수십만 개 이상의 별들이 축구공 모양처럼 뭉쳐있는 것으로 빅뱅으로 시작된 우주의 나이(약 137억년)와 비슷할 정도로 오래 된 별들의 집단이다. 태양계가 포함된 우리 은하에도 구상성단이 150여 개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연구자들은 구상성단 내 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중력 작용이 행성들을 깊은 우주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구상성단 내에 생명체가 사는 행성이 있다는 데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진행한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의 로젠 디 스테파노와 인도 타타기구 기초연구소 알락 레이는 구상성단에서는 수많은 행성들이 가까운 거리에 밀집해 외계생명체와 문명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공동연구진은 행성이 서로 가까이 있으면 문명이 출현해 비교적 쉽게 다른 행성으로 퍼질 수 있고, 이런 연결 고리를 활용해 수십 억년 동안 문명을 지속하며 인간 수준에 도달했거나 곧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테파노와 레이는 다양한 구상성단 내 별들의 간격을 연구하면서 행성이 형성돼 수십 억년 동안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의 '적절한 지점(sweet spot)'을 찾아냈다. 그 지점은 성단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행성 간 간격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보다 100'1천배 정도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가 맞다면 그동안 구상성단을 배제하고 다른 곳에서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찾아온 과학자들은 엉뚱한 곳만 뒤진 셈이라고 인디펜던트는 평가했다.
구상성단 NGC 6362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국가보훈부, '14개국 유엔참전용사와 유·가족 등 80명 대한민국 찾는다&...
프레스뉴스 / 25.11.10

국회
김정희 전남도의회 교육위원장, 광양·곡성·구례·여수교육지원청 행정사무감사서 미래교...
프레스뉴스 / 25.11.10

경제일반
제주시, 현장과 함께 만드는 골목형 상점가 육성계획 두 번째 동행
프레스뉴스 / 25.11.10

사회
김제시, 『새만금신항 행정구역 결정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1.10

스포츠
강화군, 제1회 강화고려왕도기 전국 유소년 축구 페스티벌 성황리에 열려
프레스뉴스 / 25.11.10

연예
어른이 뮤지컬 '난쟁이들' 10주년 맞아, 더 솔직하고, 더 유쾌하...
프레스뉴스 / 2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