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원유시장 약세…안전자산인 국채·금에는 투자 몰려
(이슈타임)박상진 기자= 6일(현지시간) 국제금융시장은 불안한 국제 정세와 중국의 저성장 우려에 따라 또다시 출렁거렸다. 뉴욕 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면치 못한 반면 국채와 금에는 투자가 몰려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나타났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5% 하락했다. 이는 중국 증시 대폭락의 여파가 미쳤던 새해 첫 거래일인 4일(1.6%)의 하락폭과 비슷한 수준이다. 또 작년 10월 중순 이후 처음으로 17,000선이 무너졌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 P) 500지수와 기술주 위주인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1.3%, 1.1% 떨어졌다. 영국 런던 FTSE 100 지수는 1.0%, 독일 프랑크푸르트 DAX 30 지수는 0.9%, 프랑스 파리 CAC 40 지수는 1.3% 각각 내렸다. 이날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인 것은 불안한 국제 정세에 따라 국제 유가가 급락한 게 주된 이유였다.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북한의 4차 핵실험도 지정학적 불안감을 키운 요인이었다. 세계 경제 2위 대국인 중국의 저성장에 대한 우려도 증시를 하락장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주식시장의 약세를 부른 국제 유가는 이날 브렌트유가 12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추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하루새 5.6%나 떨어져 2008년 12월 19일 이후 최저인 배럴당 33.97달러로 장을 마쳤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브렌트유는 6.0% 내린 배럴당 34.24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어 2004년 6월 이후 가장 낮다. 국제 유가 폭락은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간 갈등이 심화하면서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감산에 합의하기 더 어려워진데다가, 미국의 휘발유 재고가 예상보다 많이 증가한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채권시장은 투자가 활기를 띠었다. 안전자산인 국채를 사려는 투자가 늘면서 채권 가격은 오르고 수익률은 떨어졌다. 미국 재무부 채권 10년 물의 수익률은 전날보다 0.075%포인트 내린 2.175% 수준이며, 독일 10년물 국채도 0.005%포인트 낮은 0.508%를 보이고 있다. 또 다른 안전자산인 금에 투자된 자금도 늘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 물 금 가격은 1.3% 올라 최근 2개월 새 가장 높은 가격 수준이 됐다. 환율 시장에서는 일본 화폐인 엔이 국제 정세 불안을 틈타 강세를 띠었다. 리스크가 낮은 안전 통화로 분류되는 엔은 1달러당 118.49엔에 거래돼 전날보다 0.5%가량 절상됐다. 달러는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추가 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 12월 의사록 공개 탓에 약세를 나타냈다.
안전 통화인 엔 강세[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국가보훈부, '14개국 유엔참전용사와 유·가족 등 80명 대한민국 찾는다&...
프레스뉴스 / 25.11.10

국회
김정희 전남도의회 교육위원장, 광양·곡성·구례·여수교육지원청 행정사무감사서 미래교...
프레스뉴스 / 25.11.10

경제일반
제주시, 현장과 함께 만드는 골목형 상점가 육성계획 두 번째 동행
프레스뉴스 / 25.11.10

스포츠
강화군, 제1회 강화고려왕도기 전국 유소년 축구 페스티벌 성황리에 열려
프레스뉴스 / 25.11.10

사회
김제시, 『새만금신항 행정구역 결정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1.10

연예
어른이 뮤지컬 '난쟁이들' 10주년 맞아, 더 솔직하고, 더 유쾌하...
프레스뉴스 / 2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