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남방 간 제3의 식량운송 통로 뚫렸다" 의미 부여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중국이 지난해 처음으로 북한 나진항을 통해 남방지역으로 식량·목재 등을 운송하기 시작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5일 보도했다. 지린(吉林)성 훈춘(琿春)시 운항업무국에 따르면, 지난해 식량 600t이 훈춘을 경유하는 ·바닷길·을 통해 상하이(上海)로 운송됐다. 통신은 ·이는 철도를 이용한 직접운송 방식과 철도-선박, 도로-선박을 활용한 연계운송 방식 이외에 남북지역을 잇는 제3의 식량운송 통로가 뚫렸다는 것을 뜻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의 전체 식량생산량은 6억 2100만t으로 그 중 헤이룽장(黑龍江), 지린(吉林), 랴오닝(遼寧)성 등 동북 3성과 네이멍구(內蒙古)가 1억 4800만t을 생산했다. 통신은 또 훈춘에서 100㎞도 떨어져 있지 않은 나선항이 ·차출항해·, ·내무외운·(內貿外運·국내상품을 외국을 통해 운송)을 현지 물류경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만들어주고 있다며 ·2010년 (나진항을 통한) 운송물품은 석탄에 불과했지만, 지난해부터는 식량, 목재, 광석분말로 확대됐다·고 보도했다. ·동해출구· 구축에 공을 들여온 중국은 이미 2000년대 후반 북한당국으로부터 나진항과 청진항 부두의 초장기(30·50년) 사용권을 확보했다. 한동안 중국 내 석탄 가격 하락, 항구의 열악한 인프라 문제 등으로 이들 항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신(新)경제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북한항구를 이용한 ·차출항해· 전략은 점점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중국은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 동해에서 출발하는 새로운 북극해 항로 개척도 추진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나진항 등 북한 항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진항은 함경북도 나선시 동남쪽에 위치한 북한의 국제항구로, 유라시아 교통물류 네트워크의 허브에 위치하고 있어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리 정부도 나진-하산 프로젝트 3차 시범운송 사업의 일환으로 나진항을 통한 백두산 생수 운송 사업을 하고 있으며 지난달 7일 우리 기업이 백두산 근처에서 생산한 생수가 이 항구를 거쳐 부산항에 도착하기도 했다.
북중 접경 지역에 있는 중국 훈춘시 해관[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국가보훈부, '14개국 유엔참전용사와 유·가족 등 80명 대한민국 찾는다&...
프레스뉴스 / 25.11.10

국회
김정희 전남도의회 교육위원장, 광양·곡성·구례·여수교육지원청 행정사무감사서 미래교...
프레스뉴스 / 25.11.10

경제일반
제주시, 현장과 함께 만드는 골목형 상점가 육성계획 두 번째 동행
프레스뉴스 / 25.11.10

스포츠
강화군, 제1회 강화고려왕도기 전국 유소년 축구 페스티벌 성황리에 열려
프레스뉴스 / 25.11.10

사회
김제시, 『새만금신항 행정구역 결정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1.10

연예
어른이 뮤지컬 '난쟁이들' 10주년 맞아, 더 솔직하고, 더 유쾌하...
프레스뉴스 / 2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