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지사, 동반발전 한 목소리

김교연 / 기사승인 : 2022-08-29 13:47:3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제31회 충청권 행정협의회 개최

▲ 29일 열린 제31회 충청권행정협의회에서 4개시도지사들이 충청권 발전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기로 합의했다. 왼쪽부터 김태흠충남지사, 김영환충북지사, 최민호세종시장, 이장우대전시장(사진=세종시)

[프레스뉴스] 김교연 기자=충청권4개 시도지사가 충청권 특별지자체 설립을 위한 합동추진단 구성, 행복도시권 통합환승요금체계 시스템구축, 국가철도망 계획 조기 추진 및 충청권 동서축 철도망 구축 등 동반발전에 한 목소리를 내기로 합의했다.

민선8기 출범 이후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인 ‘제31회 충청권 행정협의회’에서 충청권 행정협의회장인 최민호 세종시장을 비롯해 이장우 대전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김태흠 충남지사가 함께 공통사업을 추진하기로 중지를 모았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충청권은 초광역권 발전을 통해 수도권에 대응하는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으로 부상할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충청권 거버넌스 구축과 전략산업발굴·추진에 충청권 행정협의회장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초광역협력과 메가시티는 지역발전의 대전환과 도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핵심전략”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충청권 4개 단체장님들이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경제·교통·문화·복지 등을 공유하는 하나의 경제권·생활권을 형성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어 김영환 충북지사는 “충청권 메가시티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4개 시도가 지혜와 힘을 모으고, 충청권 공조의 틀을 강화하여 초광역 협력의 시대적 임무를 완수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태흠 충남지사는 “100만∼200만 명 단위 도시 간 경쟁 구조는 중복‧과잉 투자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규모의 경제도 실현할 수 없어 지역의 자생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메가시티는 필수”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충청이라는 이름으로 550만 충청인에게 새로운 미래와 희망을 제시하고 메가시티를 통해 충청의 더 큰 이익을 거둬 시도민께 돌려드리겠다는 마음으로 대승적으로 추진해 나아가자”고 설명했다.

 

▲ 31회 충청권 행정협의회에서 4개 시도지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충청권의 미래를 논하고 있다(사진=세종시)

 

공통안건논의에 앞서 진행된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운영 및 설립방안’용역 최종보고회에서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정책연구를 통해 제안한 충청권 특별지자체의 관장사무, 조직구성, 재정확보방안 등을 보고 받았다.


4개시도지사들은 용역을 통해 도출한 방안을 충청권에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내실 운영할 수 있도록 지속 협력하기로 했다.

세종시에서 제안한 충청권 특별지자체 한시조직 구성에 대해서는 충청권 4개시도가 초광역 협력으로 지역 간 자원을 공유하고 중복사업 투자 방지 등 광역생활경제권을 구성하는 것에 뜻을 모았다.

충남도에서는 윤석열 정부 임기 내 국정과제 및 지역별 철도공약 이행을 위해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조기 시행하고, 메가시티 완성을 위해 대통령 지역공약인 충청권 동서축 연결 철도망 구축 반영을 제안했으며 4개 시도지사 모두 공동 건의하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충청권 특별지자체 추진을 위해서는 시도민 공감과 합의, 광역의회 간 협조, 지자체 이관사무, 국가 위임사무에 대한 권한 이양 등 지속적인 갈등 해소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됐다.

4개 시도지사는 "부·울·경이나 대구·경북 사례를 참고로 삼아 충청권 실정에 맞는 초광역협력 상생경제권 구축의 밑그림을 그려 절차를 밟아 나가자"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