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이슈타임)김담희 기자=금리가 상승으로 생보사 빅3가 일제히 공시 이율을 올린 가운데 중소형 보험사들도 인상 행렬에 동참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보사 빅3(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가 저축보험과 금리연동형 연금보험에서 공시이율을 동시에 높였다.
공시이율은 은행의 예금금리처럼 고객에게 지급되는 이자로 시중금리와 연동해 적용되는 일종의 보험 예정금리를 말한다. 이 공시이율이 높을수록 고객은 만기에 받는 환급금이나 중도해약 환급금이 증가한다.
이번 공시이율 상승에는 저축보험에서 교보생명이 2.75%로 빅3 가운데 가장 컸다. 이어 한화생명이 2.78%를, 삼성생명이 2.77%를 올렸다.
또 금리연동형 연금보험에서는 교보생명이 2.6%로 큰 상승 폭을 보였고, 삼성생명과 한화생명은 각각 2.64%, 2.6%를 상향 조정했다.
대부분의 보험사는 자산의 상당 부분을 채권에 투자한다. 이 투자로 시중금리가 인상되면 채권 평가손에도 불구하고 운용자산수익률이 높아져 투자이익 증대로 이어지면서 공시이율이 오르는 구조이다.
이번 생보사 공시이율 인상은 지난달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려 국내 시장금리도 함께 올라가는 상황을 선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지난해 규제 강화 등으로 위축됐던 방카슈랑스 시장에서 주력 상품인 저축성보험의 공시이율을 상향해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으로도 예측된다.
하지만 중소형 보험사의 공시이율 인상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저금리 기조로 많은 보험사가 채권 분류 방식을 '만기보유채권'에서 '매도 가능 채권'으로 바꿔, 지금처럼 시장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이 내려가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지금처럼 국내 시장금리도 함께 올라가는 상황이 계속되면 보험사들도 공시이율을 올릴 수밖에 없다"며 "다만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보험사들의 채권 평가 이익이 줄어들어 중소형 보험사들의 경우에는 가용자본 축소, RBC 비율 하락 등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16,131명 응시 2026학년도 수능, 대전교육청 빈틈없는 준비 완료
프레스뉴스 / 25.11.06

문화
해양수산부, 붓끝에서 피어난 우리 바다 해양생물 이야기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대구미래교육연구원, ‘미래형 수업사례 나눔 특강’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6

국회
경기도의회 김진명 의원, '청소년지도자 공적 실습 수련체계 구축' ...
프레스뉴스 / 25.11.06

경제일반
농식품부, 온라인도매시장 지역 마트 등 직접 참여해 유통 비용 감축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홍천교육지원청,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교육혁신 역량강화 연수’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