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성가구주 44% '월세살이'…남성가구주 50%는 '자가'

윤선영 / 기사승인 : 2017-12-20 15:33:0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서울시가 '2017 성인지 통계'를 발표했다.[사진=서울시 제공]

(이슈타임 통신)윤선영 기자=서울에 거주하는 여성가구주는 월세살이가 가장 많은 반면 남성가구주는 자가살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20일 발표한 '2017 성(性)인지 통계'에 따르면 여성가구주의 주택점유형태는 월세(43.8%), 자가(28.2%), 전세(26%) 순이었다.


남성가구주는 자가(50.1%), 전세(26.2%), 월세(22.1%) 순으로 월세 비율이 가장 낮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여성은 20~50대에 월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부터 자가 비율이 높아졌다.


남성은 20대 월세(60.4%), 30대에 전세(46.4%)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40대 이상부터 자가 비율이 높아졌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여성이 남성보다 주거안정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혼여성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 비율(고용계약 1년 이상)은 44.2%로 미혼여성(61.1%)보다 16.9% 낮은 반면, 남성은 혼인상태별 상용근로자 비율 차이가 0.5%포인트(미혼남성 53.6%·기혼남성 54.1%)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2017 성인지 통계'를 발표했다.[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의 성별 임금격차는 36.8%로 OECD 평균 14.3%에 비해 매우 높았다.


서울에 사는 여성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96만 원으로 남성(310만 원)의 63.2% 수준이었다.


성별 임금격차가 작은 국가는 벨기에(3.3%), 룩셈부르크(3.4%), 슬로베니아(5.0%) 순이다.


배현숙 서울시 여성정책담당관은 "이번 성인지 통계 작성이 성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각 부문별 맞춤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2017 성인지 통계'는 지자체와 시립도서관, 대학교 등에서 책자로 만날 수 있으며 서울시 홈페이지 정보소통광장을 통해서도 파일로 내려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