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 환자 절반은 9세 이하 아동…전체 환자의 51%

장동휘 / 기사승인 : 2017-11-12 17:14:2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9세 이하, 10대, 20대 순으로 가장 많아
사시 환자의 절반이 9세 이하 아동인 것으로 드러났다.[사진=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이슈타임 통신)장동휘 기자=사시 환자의 절반이 9세 이하 아동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1~2016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질환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1년 11만9000명에서 2016년 13만2000명으로 연평균 2.0%씩 꾸준히 증가했다.


연령별 진료 인원은 9세 이하가 6만7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 10대(3만6000명), 20대(7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9세 이하 소아·아동은 전체 환자의 51%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수는 9세 이하 소아·아동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약 8세 전후로 시력 발달이 완성되기 때문에 사시 치료를 위한 안경 착용, 수술 등은 대부분 이 시기에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사시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두 눈을 바로잡기 위한 융합력의 이상, 눈 근육이나 안와내 조직의 구조적 이상, 조절에 따른 눈 모음의 이상 등이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


사시는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시기가 다양하나 영아 사시는 6개월 이전에, 조절내사시(안구가 원시를 극복하려고 조절을 하면서 발생하는 사시)는 18개월경에 나타나며 간헐외사시(한눈 또는 양눈이 교대로 가끔 바깥으로 돌아가는 질환)는 3~4세 전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김 교수는 "사시의 치료 목적은 정상적인 시력 발달, 양안 시기능 회복, 눈의 위치를 바르게 해 외관을 보기 좋게 하는 등 세 가지다"라며 "출생 직후 나타나는 영아 사시는 생후 4~5개월경부터 수술이 가능하며 늦어도 2세 이전에는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조절내사시는 조절마비 굴절 검사 후 안경 착용이 원칙이다"라며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사시는 나타나는 빈도와 사시각을 고려해 치료시기를 결정하지만 수술이 필요한 경우 초등학교 입학 전에 교정해주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