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략폭격기 'B-1B', 北 5차 핵실험 대응 한반도 출동 무력시위

박혜성 / 기사승인 : 2016-09-13 11:21:1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전략무기 한반도 신속 파견 가능함 보여줌으로써 대북 경고 메시지 전달
미국의 장거리 전략폭격기 B-1B '랜서'가 한반도에 출동해 대북 무력 시위를 펼쳤다.[사진=TV조선 뉴스]

(이슈타임)김대일 기자=미국의 장거리 전략폭격기 B-1B '랜서'가 한반도에 출동해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응하는 무력시위를 벌였다.

13일 오전 괌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B-1B는 오전 10시께 오산기지 상공을 지나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저공비행했다.

B-1B 1대가 우리 공군 F-15K 전투기 4대의 호위를 받으며 오산기지 상공을 먼저 지나갔고, 다른 B-1B 1대는 미 공군 F-16 전투기 4대의 호위를 받으며 뒤를 따랐다.

미국이 B-1B를 한반도에 전개한 것은 북한의 5차 핵실험 감행 나흘 만으로, 전략무기를 신속하게 한반도에 파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북한이 추가 도발에 나설 경우 강력하게 응징하겠다는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또한 한국에 대해서는 미국이 유사시 전략무기를 동원해 한국을 보호하겠다는 방위 공약을 행동으로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B-1B는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B-2 '스피릿'과 함께 미국의 3대 전략폭격기로 불리는 기종이다. 초음속 비행이 가능해 최대속도(마하 1.2)를 내면 괌에서 이륙한지 2시간 만에 한반도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폭탄과 미사일 탑재 능력이 매우 뛰어나 한 번의 출격으로 대량의 폭탄을 투하할 수 있다.

이번에 한반도에 전개된 B-1B는 지난 달 초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엘스워스 공군기지에서 괌 기지로 전진 배치됐다.

북한은 지난 2005년 11월에도 미국이 괌에 배치된 B-1B를 한반도 상공으로 전개하자 이를 '핵선제타격 연습'으로 간주하며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한편 미국은 당초 지난 12일 B-1B 2대를 한반도에 전개할 계획이었으나 괌 기지의 강한 측풍(항공기 비행 방향과 직각으로 부는 바람)을 이유로 이를 하루 연기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5차 핵실험을 감행한 북한에 대한 한미 양국 군의 압박 조치가 첫 걸음부터 꼬였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이 B-1B의 한반도 전개를 하루 미룬 데는 기상 여건뿐 아니라 대북 무력시위의 효과를 높이려는 전략적 고려도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도 B-1B의 한반도 전개 연기에 대해 '가장 효율적인 전략자산 전개 시점을 고려한 것으로 본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은 B-1B를 시작으로 다음 달 중순 서해와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진행되는 한미 연합 항모강습단 훈련에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CVN-76)를 참가시키는 등 주요 전략무기를 순차적으로 한반도에 전개해 대북 압박 강도를 높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