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성 시작 첫날 사적으로 결성된 무허가 용역 20명 고용
(이슈타임)김대일 기자=학교 본관을 점거하고 장기간 농성 중인 이화여대 학생들이 학내에 경비용역을 불러들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5일 농성 학생들의 교수, 교직원 감금 혐의를 수사 중인 서울 서대문경찰서는 본관 주변에 용역 남성 20명이 있었던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에 있던 용역 중 일부를 조사했으며, 이들은 농성 중이던 학생 2명이 자신들을 불렀다고 진술했다"고 말했다. 용역들은 이대 학생들의 농성 및 교직원 감금이 시작됐던 7월28일 오후 2시쯤 캠퍼스 안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으며, 교직원들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파출소 직원 등 일부 경찰을 지켜보는 등 3~4시간 정도 상황을 주시하다가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허가를 받은 경비용역회사 차원이 아닌 한 회사 직원이 사적으로 사람을 불러모아 현장에 간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경찰은 용역이 학생들에 합세해 불법행위를 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이 동원된 구체적인 경위가 확인될 경우 감금 혐의 입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이들을 불러들인 학생 2명을 곧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다. 또한 용역 남성 20명에 대해서는 별도로 경비업법 위반이 있었는지 수사 중이다." 한편 경찰이 용역 동원 사실을 확인하고 수사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농성 학생들도 이를 시인했다. 농성 학생들은 "시위자들은 20대의 여자들로 신변상의 안전이 걱정돼 자구책으로 고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경호원을 20명 미만으로 부르면 경비업법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업체의 안내를 받아 경호원 19명을 불렀으며 나머지 1명은 총괄팀장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직원들을 불법으로 감금했음에도 자신들을 경찰 "무력진압"의 피해자로 규정해온 학생들이 실제로는 먼저 캠퍼스에 무허가 용역을 불러들인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찰은 감금 신고를 한 교수와 직원을 구출하기 위해 7월 30일 본관에 들어갔지만 농성 학생들은 "학교 측 요청으로 1600여명의 경력이 우리를 무력으로 진압했다"는 취지로 보도자료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주장해온 바 있다.
학교 본관을 점거하고 농성 중인 이화여대 학생들이 학내에 무허가 용역을 불렀던 것으로 확인됐다.[사진=YTN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문화
문체부 대표 누리집 복구 완료, 10월 20일부터 정상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중앙정부-지자체, 전국에 있는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힘 모은다!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자살예방을 위한 서울 동작구 현장간담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외교부,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관련 본부-공관 합동 상황점검회의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고용노동부, “현장실습생이 꼭 알아야 할 산업안전수칙, ‘이러닝’을 통해 쉽게 배...
프레스뉴스 / 25.10.21
경남
사천시, 가족의 소중함과 화합을 담은 ‘2025 사천모든가족축제’ 성황리 개최
정재학 / 2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