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가 311 전용번호까지 두고 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슈타임)김대일 기자=미국 뉴욕시가 해마다 늘어나는 쥐 때문에 311 전용신고번호까지 두고 전쟁을 벌이고 있다. 올해에는 이 번호로 신고된 건수가 지난 2년 평균인 2만4000건을 벌써 넘었을 만큼 쥐와의 전쟁이 이제는 '쥐 위기'까지 확산되고 있다. 맨해튼 어퍼 웨스트 사이드에 사는 노라 프렌티스는 근처 공원에 200여마리의 쥐떼들이 몰려 살고 있어 수없이 시 당국에 신고전화를 해야만했다. '버닝 맨'축제 같이 쥐들이 잔디밭에 놓인 의자마다 앉아서 사람을 기다린다. 이 쥐들의 별장지대에 시 당국이 무슨 대책을 세울 수 있는지 모르겠다. 끔찍하다'고 그는 말했다. 뉴욕시 감사원장 스캇 스트링거는 지난 2년간 시 보건국 공무원들에게 쥐 피해 신고에 더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을 질타해왔다. 특히 지하철을 담당하는 도시교통국이 정기적인 청소를 게을리 함으로써 쥐떼들의 번성을 초래했다고 비난했다. '실제로 어떤 쥐들은 두발로 서서 걷는 것도 보았다. 당장이라도 '안녕하세요, 감사원장님'하고 인사라도 할 것 같다. 당당하게 이웃에 집이라도 사서 이사 온 것처럼 시내를 누비면서 살고 있다'고 그는 개탄했다. 뉴욕 쥐의 개체 수는 통상 840만명의 시민 1명당 한마리 꼴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 컬럼비아대 박사과정의 한 대학원생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실제로는 200만 마리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전문가들과 시 공무원들은 쥐의 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고 말하고 있다. 최근 쥐가 나타났다거나 쥐떼로 인한 피해를 신고하는 전화가 가파르게 늘어난 것은 지난 겨울의 폭설로 시내 도로변의 쓰레기가 제대로 치워지지 못해 쥐가 크게 번식한데다 311전용 번호로 신고가 쉬워졌기 때문이라고 시 보건과의 쥐 전문가 캐럴라인 브래그던 팀장은 말하고 있다. 그의 팀은 도로변의 쥐 개체수를 종합해서 '쥐 지수' 통계치까지 마련하고 문제의 빌딩들 10여채를 매달 감시하고 있다. 처음에는 10여명이 시작했으나 이제는 50여명의 거대 팀이 되었고 쥐 박멸 예산도 이제는 300만달러에 달하고 있다.
뉴욕시가 대대적인 쥐 소탕 작전에 나섰다.[사진=USA Today]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속초시, 고위직이 먼저 바꾼다! 성평등 조직문화 확산 앞장
프레스뉴스 / 25.11.10

경제일반
프랑스 발레오 753억 원 추가 투자… 대구 미래모빌리티 혁신 가속
프레스뉴스 / 25.11.10

문화
나주시, ‘제15회 대한민국 청소년 끼 페스티벌’ 성료
프레스뉴스 / 25.11.10

국회
순천의 미래, AI에서 찾다! 순천시의회 스마트시티 연구모임, 혁신 현장 누비며 ...
프레스뉴스 / 25.11.10

사회
국토교통부 선정,‘KTX 남원역세권 투자선도지구 발전 비전’선포
프레스뉴스 / 25.11.10

스포츠
나주시, 가을빛 물든 생활체육 열기…스포츠 행사 잇따라
프레스뉴스 / 2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