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기장 비행중 의식 불명으로 비상 착륙

박사임 / 기사승인 : 2015-10-07 17:21: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유나이티드항공 앨버커기 공항에 응급 착륙
기장의 의식 불명으로 유나이티드 항공 비행기가 비상착륙하는 일이 발생했다.[사진=CNN]

(이슈타임)김대일 기자=비행 중 조종사의 갑작스러운 병환으로 여객기가 비상 착륙하는 일이 미국에서 이틀 연속 벌어졌다.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 주 휴스턴에서 출발해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로 향하던 유나이티드항공 1614편이 비행 약 1시간 반 만에 뉴멕시코 주 앨버커키 공항에 비상 착륙했다.

기장의 유고시 비행기 조종간을 잡아야 하는 부기장이 갑자기 의식을 잃은 탓이었다. 또 착륙 과정에서 사고는 없었다고 유나이티드 항공은 밝혔다.

이 부기장은 착륙 후 의식을 차린 뒤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비행기 바깥으로 나와 병원에서 검진을 받았다.

유나이티드 항공 관계자는 운항승무원이 갑자기 아파 앨버커키 공항에 우회 착륙했다 면서 절차에 따라 안전하게 착륙했고, 승객을 최종 목적지로 태우고자 노력 중 이라고 해명했다.

유나이티드 항공 1614편은 비상 착륙 4시간 후 다시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떠난 이후 사건은 아메리칸항공 기장이 비행 중 숨진 지 하루 만에 또 다시 발생했다.

승객과 승무원 152명을 태우고 전날 애리조나 주 피닉스에서 출발해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으로 가던 아메리칸항공기의 기장은 비행 중 신체 이상을 호소하더니 곧바로 숨졌다.

부기장이 신속하게 관제탑에 상황을 보고하고 나서 뉴욕 주 시러큐스 공항에 안전하게 비상착륙해 대형 사고를 면했다. 미국 일간지 USA 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비상시를 대비해 반드시 조종석에 기장과 부기장이 동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기장과 부기장은 여객기를 혼자서도 몰 수 있지만, 한 명의 유고 상황을 대비해 늘 함께 조종석을 지켜야 한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