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슈퍼문과 블러드문 관찰은 어려워, 다만 날씨가 맑으면 둥근달은 관측 가능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오는 9월 가큰 달과 붉은 달을 동시 에 관측할 수 있을것이란 예상이 나오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의 30일자 보도에 따르면 영국 현지시간으로 오는 28일 오전 2시(한국시간 28일 오전 10시), 달과 지구가 최단 거리를 유지하는 근일점에 가까워지면서 슈퍼문을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석 간만의 차가 최대치가 되는 순간인 슈퍼문이 떠오르면 지구와 달의 거리는 35만 6887㎞가 된다. 2015년 들어 지구와 달이 가장 가까워지는 순간이다. 특히 이날엔 슈퍼문과 개기월식으로 인한 '블러드문'(Blood Moon)이 동시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어서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개기월식은 태양-지구-달의 순서로 위치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름달 일 때에만 나타난다. 지구의 그림자에 달의 일부가 들어가면 부분월식, 달의 전부가 들어가면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개기월식에서 눈에 띄는 것은 바로 블러드문, 이름 그대로 붉은색의 달이다. 개기월식이 일어나면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져 완벽하게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어두운 붉은 색으로 관측된다. 태양광선이 지구에 가려져 달에 도달하지 못하지만, 지구 대기에 의해 굴절된 빛이 달 표면에 닿으면서 달이 붉게 보이는 것. 개기월식은 보름달 일 때 나타나지만 반드시 슈퍼문 일 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붉게 물든 블러드문이자 거대한 슈퍼문을 동시에 보는 것은 비교적 드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슈퍼문일 때 달은 가장 크고 밝지만, 개기월식이 함께 일어나므로 크긴 크되 밝진 않고 붉은 달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슈퍼문과 블러드문은 영국을 포함한 유럽 일대와 아프리카, 남북아메리카 대륙 등지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안타깝게도 이번에는 한국에서는 슈퍼문과 블러드문 둘 다 관찰하기 어렵지만,'추석 연휴인 오는 28일 저녁 날씨가 맑다면 크고 둥근 달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개기월식으로 인한 블러드문이 마지막으로 관찰된 시기는 지난 4월 4일, 슈퍼문이 마지막으로 관찰된 시기는 지난 2014년 8월 11일이며, 한국천문연구원은 3년 뒤인 2018년에야 한국에서 개기월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30일 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오는 9월에 슈퍼문과 블러드문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남
남해읍, 제30회 군민의 날 및 화전문화제 해단식 개최
정재학 / 25.11.10

국회
경기도의회 K-웹드라마 어워드 대상 수상...김진경 의장 “다양한 채널 통한 소통...
프레스뉴스 / 25.11.10

사회
성북구·글렌데일시 우호 10년, 평화의 소녀상서 화합 다짐
프레스뉴스 / 25.11.10

스포츠
부산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부산대표선수단 해단식 개최
프레스뉴스 / 25.11.10

사회
남양주시, 진건·퇴계원·별내 지역 초등 학부모 대상 ‘미래교육공동체 아카데미’ 성...
프레스뉴스 / 25.11.10

문화
‘부산진구 찾아가는 음악회’, 양정라이온스 공원에서 2025년 유종의 미 거둬
프레스뉴스 / 2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