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라덴은 파키스탄 정보부에 이미 잡혀있었다"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오사마 빈라덴을 사살했다는 미국 정부 발표의 대부분이 허위라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11일(현지시간) NBC 등 미국 언론들은 탐사보도 전문기자 세이모어 허쉬가 영국 매체 '런던 리뷰 오브 북스'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세이모어 허쉬는 이라크 전쟁 당시 미군이 이라크 포로들을 상대로 성폭력을 행사했다는 내용이나, 베트남전에서 미군이 1968년 미라이 마을 주민 수백 명을 무차별 학살했다는 등의 보도로 전쟁 전문 탐사보도 전문 기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허쉬는 기고문을 통해 '빈라덴은 2006년부터 파키스탄 정보부에 의해 아보타바트에 잡혀 있었고, ISI의 내부 밀고자가 지난 2010년 8월 2500만 달러(약 273억원)을 받고 이를 미국 측에 알렸기 때문에 미국에서 알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기고문에 의하면 파키스탄 육군참모총장 아시파크 페레즈 파야니와 아흐메드 슈자 페샤 정보부 부장이 미군의 공격 계획을 알고 있었고, 이들이 묵인했기 때문에 미국 해군특전단 네이비실을 태운 헬기가 아보타바드까지 아무런 제지를 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었다. 미국 정부는 지난 2011년 5월 네이비실을 파키스탄 아보타바드로 투입해 은신 중이던 빈라덴을 살해했고, 시신을 수장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미국 정부는 파키스탄 정부에서 미군의 공격 계획을 몰랐다고 발표했으며, 작전이 종료된 뒤 아프가니스탄의 파야니 육군참모총장에게 작전 종료를 통보했다고 알려져 왔다. 한편 빈라덴 시신의 행방에 대해서 허쉬는 알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미국은 당시 빈라덴의 시신이 잘랄라바드의 미군기지를 거쳐 항공모함 칼빈슨호로 옮겨졌고, 칼빈슨 함상에서 이슬람의 전통 절차에 맞춰 수장됐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허쉬는 빈라덴의 장례 과정을 참관했다는 이슬람교 종교인이나 장례를 위해 시신을 정돈하는데 관여했다는 사람이 아무도 나오지 않았다며 '빈라덴의 시신이 칼빈슨 함상에서 수장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허쉬는 기고문에서 시신이 수장되는 대신 아프간으로 다시 옮겨졌다는 주장이 있고, 작전 종료 후 귀환하는 과정에서 빈라덴의 시신 중 일부가 유실됐다는 주장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퇴역 미군 장성들과 정보당국 관계자들'로부터 이런 말들을 들었다며, 빈라덴 사망 과정에 대한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발표가 '거짓말과 오도이며 결국 국민에 대한 배신행위'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허쉬의 이런 주장에 대한 반론도 제기됐다. 허쉬의 주장을 입증할 근거가 없고, 허쉬의 주장이 모두 '익명 소식통'들의 말을 바탕으로 했다는 것이다. 미국 백악관은 '틀린 부분과 근거없는 주장이 너무 많다'는 입장을 보였다.' 네드 프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미국 정부는 처음부터 파키스탄을 비롯한 다른 어느 나라에도 (빈라덴 체포 작전을) 알리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미국 정부가 발표했던 오사마 빈라덴의 사살 과정이 허위라는 주장이 나왔다.[사진=NBC]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문화
해양수산부, 국내 두 번째 해양치유센터 태안에 문 연다
프레스뉴스 / 25.11.11

사회
산림청 영덕국유림관리소, 2025년 청렴콘텐츠 공모전 영상부문 우수상 수상
프레스뉴스 / 25.11.11

정치일반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2025년 사회혁신경제국-경기도사회적경제원 행정사무감...
류현주 / 25.11.11

경기남부
안산시, 일자리·기업 유치 로드맵 제시…‘신산업전략 1.0’ 가동
장현준 / 25.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