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 결국 사과 없었다

박혜성 / 기사승인 : 2015-04-30 11:02:4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아베의 책임 회피에 미 의회 의원들 비판 쇄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결국 과거사에 대한 사과를 하지 않았다.[사진=AP 통신]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결국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사과를 하지 않았다.

이에 미 의회에서 강도높은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하원 외교수장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과 하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 엘리엇 엥겔 의원, 2007년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을 주도한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을 비롯한 친한파 의원들이 일제히 나서 ·핵심·이 빠진 아베 총리의 연설을 비판했다.

로이스 외교위원장은 보도자료를 내고 ·오늘 캘리포니아의 장인상에 참석하느라 아베 총리의 연설에 참석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며 ·아베 총리가 동아시아의 외교관계를 악화시키는 과거사 문제를 적절하게 다룰 기회를 활용하지 못해 매우 실망스러웠다·고 밝혔다.

로이스 위원장은 ·나는 위안부 피해자들이 여전히 느끼는 상처가 얼마나 깊은지, 그들이 얼마나 사과를 원하는지 안다·며 ·아베 총리는 이번 연설을 2차 세계대전 당시 성노예로서의 고통을 겪은 이들에게 사과하는 기회로 활용했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전 세계는 일제 식민통치 기간에 일어난 일들의 역사를 알고 있다·며 ·아베 총리는 역내 협력에 기여하는 치유와 화해의 메시지를 보내는 기회를 놓치지 말기를 열렬히 희망한다·고 말했다.

엥겔 의원은 아베 총리 연설 직후 낸 성명에서 ·아베 총리가 이전 총리들의 입장을 승계한다고 하면서도 위안부 문제, 특히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본회의장 갤러리에서 연설을 지켜보는데도 직접적으로 사과를 하지 않았다·면서 ·아베 총리가 제국주의 일본군대가 저지른 전쟁범죄에 대해 좀 더 직접적으로 언급했어야 한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은 (위안부 등) 해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를 더욱 더 적극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이웃 국가들과 생산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혼다 의원은 일본계임에도 성명을 통해 ·아베 총리가 오늘 연설에서 제2차 세계대전 중 제국주의 일본 군대가 조직적으로 저지른 만행, 이른바 ·위안부· 범죄에 대해 사과하지 않음으로써 책임을 계속 회피했는데 이는 충격적인 동시에 아주 부끄러운 것·이라고 일갈했다.

지난 2007년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위안부 결의안·을 주도한 혼다 의원은 ·아베 총리가 연설에서 ·아시아 국가들이 받은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이전 총리들의 입장(고노담화·무라야마 담화)을 계승한다·고 하면서도 위안부나 성노예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아베 총리의 역사 직시 거부는 아·태지역의 20만 명이 넘는 (위안부 피해자) 소녀와 여성들에게 모욕·이라면서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혼다 의원은 심지어 아베 총리의 연설 도중 다른 의원들이 기립 박수를 칠 때 아예 일어나지 않거나 일어섰을 때도 일부 대목을 제외하곤 거의 박수를 치지 않았다.

아·태계 의원총회 의장인 중국계 주디 추 하원의원, 찰스 랭글 하원의원도 아베 총리의 책임 회피를 비판하는 대열에 합류했다.

한 외교소식통은 ·미 정치권과 전문가들의 이 같은 비판과 지적은 아베 총리가 이번 방미를 통해 안보와 경제 측면에서는 일부 성과를 거뒀을지 모르지만 ·역사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않고는 미래도, 희망도 없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아베 총리에게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