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보호를 담당하는 '소교세포'에서 중요한 변화 발견해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이 특정 면역세포의 이상이며 향후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듀크 대학 의과대 신경과 전문의 캐럴 콜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러한 내용의 연구 결과를 지난 15일(현지 시간) 신경과학 저널 에 발표했다. 유전자 조작으로 만든 치매 모델 쥐를 통한 분석 결과 뇌의 보호를 담당하는 면역세포 중 소교세포 에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콜튼 박사는 말했다. 소교세포는 표면에 CD11c 분자를 방출하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면역체계를 억제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촉진되는 반면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유전자들은 발현이 둔화됐다. 이와 동시에 뇌의 중요한 영양소인 아르기닌을 분해하는 효소 아르기나제가 기억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서 활성화되면서 신경세포들이 죽었다. 연구팀은 치매의 특징적인 병리현상인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노인반)와 타우 단백질 엉킴이 나타나기 전인 쥐들에 면역체계를 재부팅(rebooting)시키는 항암제로 현재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디플루오로테밀로르니틴(DFMO)을 투여한 결과 다른 쥐들에 비해 이러한 특징적인 병리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손상된 기억력도 회복됐다. 이 결과에 대해 콜튼 박사는 치매의 원인은 뇌의 면역체계 약화이며 이미 개발돼 있는 약으로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영국 알츠하이머병학회의 로라 핍스 박사 또한 이번 연구에 대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길을 열어 주었다 고 평가했다.
미국의 한 연구팀이 치매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정치
김민석 총리, 종합적인 '경찰 개혁방안 마련' 긴급 지시
강보선 / 25.11.11

국회
인천광역시 중구의회, 2025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평가회 참석
프레스뉴스 / 25.11.11

경제일반
무안군, RE100 국가산단 유치 총력전! 전 직원 특별 교육 실시
프레스뉴스 / 25.11.11

정치일반
이강덕 포항시장, 국회 방문 ‘내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 총력 대응 나서
프레스뉴스 / 25.11.11

국회
대구시의회, 위기의 지역대학 지원 정책 실효성 지적 및 공공시설 운영의 서비스 품...
프레스뉴스 / 25.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