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자가 없는 김대리' 53만 가구 최대… 멀어진 내 집 마련

류현주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4 10:02:1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택 소유율 25.8%, 역대 최저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자의 수가 관련 통계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및 주택 단지./사진=뉴스1

[프레스뉴스] 류현주 기자=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중에서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조와 강화된 대출규제에 30대 젊은층의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국가데이터처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만7215가구(3.4%) 늘어난 수치로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다.

내 집을 가진 서울 30대 가구주는 급감했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서울의 30대 가구는 18만3456가구에 그쳤다. 전년 대비 7893가구 줄어든 규모다. 2015년 23만 7000가구에 달했던 30대 유주택자는 2023년 처음으로 20만 가구 선이 붕괴된 데 이어 1년 만에 18만명대까지 밀려났다.


무주택 가구와 유주택 가구 간 격차는 역대 최대인 2.9배까지 벌어졌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율 역시 25.8%를 기록해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2015년 33.3%였던 소유율은 2020년(30.9%), 2022년(29.3%)에 이어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30대 평균 소유율(36.0%)과 비교하면 서울 청년층의 주거 불안정은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정부가 올해 내놓은 초강력 부동산 정책에 젊은층의 주택 소유율은 더 떨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들의 주거 안정과 자산 형성을 위한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 19∼39세 청년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작년 8∼9월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은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과 '전세자금 지원'(22.3%)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 순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