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화분 매개용 벌 준비와 체계적인 관리 당부
농촌진흥청은 겨울철 딸기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려면 화분 매개용 벌 준비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라며, 효과적인 화분 매개용 벌 활용을 당부했다.
딸기는 자연 수분이 어려운 작물로, 상품성 있는 과실을 수확하려면 화분 매개용 벌을 사용해야 한다. 딸기꽃이 피기 전, 건강한 화분 매개용 꿀벌을 확보하고 사육 환경을 적절히 관리해야 딸기 수확량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딸기에 이용되는 화분 매개용 벌은 꿀벌과 뒤영벌이다.
꿀벌= 꿀 생산용 일반 꿀벌과 달리 따뜻한 비닐온실에서 5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되므로 투입 시기와 벌 상태에 따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10월 중순 이후 딸기 1화방에서 꽃이 10% 이상 폈을 때, 온실 660㎡ 기준으로 7,500~10,000마리를 투입한다. 이때 벌들이 충분히 활동할 수 있도록 벌통 안에는 꿀이 든 벌집 형태의 먹이가 넉넉히 들어있어야 한다.
여왕벌이 비닐온실에 적응해 산란할 수 있도록 벌통 내부에는 대용화분을 넣어준다. 벌통에 보온 자재를 넣어 내부 온도를 30도로 유지한다.
최근에는 꿀벌응애 피해 우려로 벌의 활동량을 일주일에 2회 이상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특히 온실 660㎡ 기준으로 날씨가 맑고 벌통 내부 온도가 높아지는 오전 11~12시 비닐온실 안을 날아다니는 꿀벌 수가 12마리 이하면 꿀벌의 건강 상태를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필요하면 양봉농가의 도움으로 벌 세력을 강화하거나 벌무리를 교체한다.
딸기 아주심기를 빨리 해 10월 초 꽃이 핀다면 꿀벌 대신 뒤영벌을 1달 정도 활용한 뒤 11월부터 꿀벌을 투입하면 꿀벌 벌무리 소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3월 이후 꿀벌이 소실됐을 때 뒤영벌을 재투입해 안정적인 딸기 수정을 유도하면 기형과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뒤영벌= 12~1월 저온기, 또는 3월 중순 꿀벌 소실 시기에 주로 사용하며, 사용 기간은 30~45일이다. 딸기 꽃이 부족한 1~2월 사이 뒤영벌 활동을 조절하려면 하루는 벌통 문을 닫고 다음 날은 열어주는 방식으로 관리한다.
뒤영벌 벌통 1개에는 약 100~120마리의 일벌이 들어 있어야 하며, 활동을 돕기 위해 벌통 안에는 설탕물을 먹이로 넣어준다. 벌집 내부가 밝은 노란색을 띠고 벌통을 가볍게 두드렸을 때 ‘윙’ 소리가 나면 건강한 벌무리다.
화분 매개용 벌을 사용하는 시기에 농약을 쓰려면 전날 저녁에 벌통을 비닐온실 밖으로 옮겼다가 농약을 뿌리고 1~2일 정도가 지난 뒤 원래 자리로 돌려놔야 한다. 벌통을 옮겨 사용하면 유실되는 일벌이 많아 벌무리 수명이 단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 사용한 벌통은 꿀벌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꿀 생산용 등으로 재사용하지 말고 소각 처리해야 한다.
농촌진흥청은 ‘수출용 딸기 품질 고급화’, ‘꿀벌 소실 대응 대체 화분 매개 기술’ 등 시범 사업으로 화분 매개용 벌을 이용한 안정적인 딸기 화분 매개 기술을 보급하고 있다. 관련 지침을 동영상, 책자 등으로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꿀벌, 뒤영벌 외에도 토종벌(재래꿀벌, Apis cerena)의 딸기 화분 매개 효과를 밝혀 딸기 재배 농가가 딸기 수분에 다양한 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양봉과 한상미 과장은 “딸기 화분 매개용 벌은 9월 이후 응애 방제, 말벌 발생 여부에 따라 활동력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사전 점검과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라며, “앞으로 화분 매개용 벌 생산 농가와 사용 농가 간 협력 기반을 공고히 해 딸기의 안정적인 생산을 도울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
▲ 딸기에서 화분 매개용 꿀벌 표준 사용법 |
농촌진흥청은 겨울철 딸기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려면 화분 매개용 벌 준비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라며, 효과적인 화분 매개용 벌 활용을 당부했다.
딸기는 자연 수분이 어려운 작물로, 상품성 있는 과실을 수확하려면 화분 매개용 벌을 사용해야 한다. 딸기꽃이 피기 전, 건강한 화분 매개용 꿀벌을 확보하고 사육 환경을 적절히 관리해야 딸기 수확량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딸기에 이용되는 화분 매개용 벌은 꿀벌과 뒤영벌이다.
꿀벌= 꿀 생산용 일반 꿀벌과 달리 따뜻한 비닐온실에서 5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되므로 투입 시기와 벌 상태에 따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10월 중순 이후 딸기 1화방에서 꽃이 10% 이상 폈을 때, 온실 660㎡ 기준으로 7,500~10,000마리를 투입한다. 이때 벌들이 충분히 활동할 수 있도록 벌통 안에는 꿀이 든 벌집 형태의 먹이가 넉넉히 들어있어야 한다.
여왕벌이 비닐온실에 적응해 산란할 수 있도록 벌통 내부에는 대용화분을 넣어준다. 벌통에 보온 자재를 넣어 내부 온도를 30도로 유지한다.
최근에는 꿀벌응애 피해 우려로 벌의 활동량을 일주일에 2회 이상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특히 온실 660㎡ 기준으로 날씨가 맑고 벌통 내부 온도가 높아지는 오전 11~12시 비닐온실 안을 날아다니는 꿀벌 수가 12마리 이하면 꿀벌의 건강 상태를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필요하면 양봉농가의 도움으로 벌 세력을 강화하거나 벌무리를 교체한다.
딸기 아주심기를 빨리 해 10월 초 꽃이 핀다면 꿀벌 대신 뒤영벌을 1달 정도 활용한 뒤 11월부터 꿀벌을 투입하면 꿀벌 벌무리 소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3월 이후 꿀벌이 소실됐을 때 뒤영벌을 재투입해 안정적인 딸기 수정을 유도하면 기형과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뒤영벌= 12~1월 저온기, 또는 3월 중순 꿀벌 소실 시기에 주로 사용하며, 사용 기간은 30~45일이다. 딸기 꽃이 부족한 1~2월 사이 뒤영벌 활동을 조절하려면 하루는 벌통 문을 닫고 다음 날은 열어주는 방식으로 관리한다.
뒤영벌 벌통 1개에는 약 100~120마리의 일벌이 들어 있어야 하며, 활동을 돕기 위해 벌통 안에는 설탕물을 먹이로 넣어준다. 벌집 내부가 밝은 노란색을 띠고 벌통을 가볍게 두드렸을 때 ‘윙’ 소리가 나면 건강한 벌무리다.
화분 매개용 벌을 사용하는 시기에 농약을 쓰려면 전날 저녁에 벌통을 비닐온실 밖으로 옮겼다가 농약을 뿌리고 1~2일 정도가 지난 뒤 원래 자리로 돌려놔야 한다. 벌통을 옮겨 사용하면 유실되는 일벌이 많아 벌무리 수명이 단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 사용한 벌통은 꿀벌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꿀 생산용 등으로 재사용하지 말고 소각 처리해야 한다.
농촌진흥청은 ‘수출용 딸기 품질 고급화’, ‘꿀벌 소실 대응 대체 화분 매개 기술’ 등 시범 사업으로 화분 매개용 벌을 이용한 안정적인 딸기 화분 매개 기술을 보급하고 있다. 관련 지침을 동영상, 책자 등으로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꿀벌, 뒤영벌 외에도 토종벌(재래꿀벌, Apis cerena)의 딸기 화분 매개 효과를 밝혀 딸기 재배 농가가 딸기 수분에 다양한 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양봉과 한상미 과장은 “딸기 화분 매개용 벌은 9월 이후 응애 방제, 말벌 발생 여부에 따라 활동력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사전 점검과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라며, “앞으로 화분 매개용 벌 생산 농가와 사용 농가 간 협력 기반을 공고히 해 딸기의 안정적인 생산을 도울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사회
기후에너지환경부, 분리배출 거짓 정보에 속지 마세요…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홍보 강...
프레스뉴스 / 25.10.20
사회
성남교육지원청, 교육활동 보호 문화 조성을 위한 '학부모 챌린지' ...
프레스뉴스 / 25.10.20
사회
외교부, 미국 비자 문제 개선을 위한 범정부 TF 2차 회의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0
문화
농촌진흥청, '농촌체험' 상품 검색부터 예약까지 쉽게 한다.
프레스뉴스 / 2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