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의원은 3·8민주의거가 1960년 3월 8일 대전고등학교 학생 1000여명이 자유당 정권의 부정과 독재에 항거했던 충청권 최초의 학생운동으로 대구의 ‘2·28민주의거’, 마산의 ‘3·15민주의거’와 함께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다는 역사적 의미를 강조했다.
홍 의원은 “그동안 오랜 세월 역사적 의미를 부여받지 못하고 정부로부터 민주화 운동으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지난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충청권 최초의 민주화운동으로 정당한 평가를 받게 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3·8민주의거의 위상을 강화하고 대전, 세종, 충남, 충북을 포함한 중부권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기념관의 건립은 충청권의 숙원사업임”을 재차 강조했다.
또 “3·8민주의거 기념사업 및 기념관 건립을 위한 위원회 구성을 통해 관련 단체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충청권을 대표할 수 있는 기념관 건립이 되도록 의회 차원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