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4%, ‘비밀번호를 기억 못해 월평균 1~3회 재설정'
		
		
		      (이슈타임)김현진 기자=개인정보 보완을 위해 각 사이트마다 비밀번호를 어렵게 만들것을 요구하지만 정작 당사자도 기억이 어려워 불편함을 겪고 있다.  비밀번호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관문부터 노트북, 금융거래용 공인인증서까지 외워야하는 비밀번호가 한두가지가 아닌데다가 최근 들어서 금융기관은 물론 각종 온라인 사이트에서도 ‘대문자, 숫자, 특수기호‘ 세가지가 포함된 비밀번호를 요수하면서 스트레스를 더욱 키우고 있다.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성인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1%가 ‘한 달간 비밀번호를 네 번 이상 바꾸고 있다‘고 했다. 일주일에 한 번꼴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비번 스트레스의 주범은 사이트마다 제각각 다르게 요구하는 비밀번호 조건으로, 포털 사이트 비밀번호의 경우 네이버가 ‘6자리 이상‘인 데 비해 다음은 ‘8자리 이상‘이다.  네이버에서 6자리로 비밀번호를 설정한 이용자가 다음을 이용하려면 숫자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비밀번호 세트를 만들어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78%가 ‘비밀번호 세트를 3개 이상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문자나 특수문자 등 조건이 추가되면 이용자들의 혼선은 커질 수밖에 없다. 영문 알파벳과 숫자를 섞어 쓸 것을 요구하는 인터파크‘지마켓 등 온라인 쇼핑몰, 금융기관 공인인증서, 카드‘은행 앱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설문조사 응답자 중 76.5%가 대문자가 필요한 경우 비밀번호 첫글자를 대문자로 바꿨다. 또 특수문자를 넣어야 할 땐 46.5%가 ‘!‘를 넣는 것으로 나타났다. 쉽게 기억하기 위해서지만 그만큼 보안은 취약해진다.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겪는 스트레스를 일컫는 ‘패스워드 증후군‘, 비밀번호를 자주 잊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비하하는 ‘디지털 치매‘ 같은 신조어까지 나왔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80.4%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 월평균 1~3회 재설정한다‘고 답했다. 비밀번호를 연속으로 틀린 뒤 재설정에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는 것도 스트레스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비번 스트레스가 지난해부터 부쩍 심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2013년 ‘3‘20 사태‘로 불리는 농협 전산망 해킹 등이 발생하면서다.  한 대학원 교수는 ‘해킹과 집단소송으로 온라인 사이트를 운영하는 기업들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높아진 상황‘이라며 ‘비밀번호에 특수문자까지 요구하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거의 유례가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사이트의 안전도를 높이기보다 이용자 개개인에게 너무 많은 보안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지만, 보안솔루션 업체인 엠큐릭스 박현주 대표는 ‘당분간은 불편하더라도 이용자가 자체적으로 여러 세트의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게 안전한 방법‘이라고 했다.		
		
		
		
	
	22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설문응답 80.4%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보도했다. 사진과 기사는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 사회 -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희망사다리교육재단, 장학생 대상 ‘AI 체험 캠프’ 운영 - 프레스뉴스 / 25.10.31 
 
- 사회 - 2025. 제천시 학교운영위원회위원장협의회 단합대회 개최 - 프레스뉴스 / 25.10.31 
 
- 국회 - 세종시의회, 신규 직원 대상 ‘세종시 이해 교육’및 현장방문 실시 - 프레스뉴스 / 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