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강한 권력·인기 누리는 신씨 앞에서 아무도 목소리 내지 못했다"
		
		
		     (이슈타임)박혜성 기자=표절 논란에 휩싸인 신경숙 작가가 소설의 제목까지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신 작가가 지난 1990년 '한국문학' 3-4월 합본호에 발표한 '무거운 새의 발자국'과 1992년 '문예중앙' 가을호에 발표한 단편 '멀리, 끝없는 길 위에'는 전남 나주 출신인 윤희상 시인이 각각 신 작가보다 앞서 발표한 시 제목과 완전히 일치했다.  윤 시인은 1987년 청하가 발행한 무크지(단행본과 잡지의 특성을 모두 가진 출판물) '현실시각 2집'에 시 '멀리, 끝없는 길 위에'를 발표했으며 1989년 민음사가 발행한 계간지 '세계의문학' 봄호에 시 '무거운 새의 발자국'을 발표했다.  두 편의 시는 모두 문학동네가 지난 2000년 발행한 윤씨의 시집 '고인돌과 함께 놀았다'에도 수록됐다. ' 한편 지난 16일 소설가 이응준씨가 온라인 매체 기고문을 통해 신 작가가 1996년작 단편 '전설'에서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우국'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이후 신 작가의 문학적 독창성에 의문을 가질 만한 과거 표절 의혹이 줄줄이 다시 드러나고 있다.  신 작가의 표절 의혹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제기됐다.  1998년 문예지 '창작과 비평'에 실린 신씨의 '작별인사' 가운데 '물마루 기척이 심상치 않아.' '먼데서 나를 데리러 오는 자의 기척이 느껴진다.'는 구절은 마루야마 겐지의 소설 '물의 가족' 중에 '물기척이 심상치 않다.' '헤엄치는 자의 기척이 한층 짙어져 오고 있다.'를 따왔다는 의심을 받았다.  신 작가가 1999년 문예지 문학동네에 발표한 소설 '딸기밭'에 등장하는 여섯 문단의 편지는 재미작가 안승준 유고집 '살아는 있는 것이오'의 서문에 안씨의 아버지가 쓴 편지글을 거의 그대로 베꼈다는 의혹을 받았다.  같은 해 문학평론가 박철화는 '작가세계' 가을호에 발표한 글 '여성성의 글쓰기, 대화와 성숙으로'에서 신씨의 단편 '기차는 7시에 떠나네'(1999년작)의 모티브가 파트릭 모디아노의 작품 세계와 매우 유사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비평에서 ''기억'의 문제와 관련하여 프랑스 소설가 파트릭 모디아노의 그림자가 너무나 짙게 드리워져 있다'며 '예정된 지점에다 충분히 소화되지 않은 남의 것을 표정만 바꿔 성급하게 갖다 맞춘 듯한 어설픔을 지울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문학평론가 정문순은 지난 2000년 문예중앙 가을호에 실은 '통념의 내면화, 자기 위안의 글쓰기' 기고문에서 일찌감치 ''전설'은 명백히 일본 극우 작가 미시마 유키오 '우국'의 표절작'이라고 주장했다.  정씨는 '일제 파시즘기 때 동료들의 친위쿠데타 모의에 빠진 한 장교가 대의를 위해 자결한다는 '우국'의 내용과, 한국전쟁 때 한 사내가 전쟁터에 자원입대하여 실종되는 '전설'은 남편들이 국가를 위해 목숨을 버릴 때 남은 아내들의 선택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점에서 주요 모티브부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엄마를 부탁해'(2008년작)와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2010년작) 또한 각각 일부 구절이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와 우연 이상으로 유사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그러나 1990년대 한국문학의 대표주자로 입지를 다진 신 작가는 수차례 제기된 의혹에 이렇다 할 사과나 해명 없이 넘어갔다.  공개된 의혹 외에도 평소 필사와 메모를 열심히 하는 신씨가 작품 제목과 일부 구절에서 다른 사람 작품의 일부를 수차례 따왔다는 이야기는 문단 일부에 이미 공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표절 의혹을 제기한 이씨 역시 '신씨의 표절 문제는 문단에서 대부분 알고 있던 이야기지만 막강한 권력과 인기를 누리는 신씨 앞에서 아무도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며 '저는 이미 십수 년 전부터 생각해온 문제를 이번에 '기록'으로 남긴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현재 논란의 중심에 있는 신씨는 여전히 적극적인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신경숙 작가가 소설의 제목까지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사진=JTBC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 사회 - 진천군, 청년 톡톡(Talk Talk) 소통 릴레이 이어져 - 프레스뉴스 / 25.10.31 
 
- 사회 - 남양주시, 민‧관‧군 합동으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프레스뉴스 / 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