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위장한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실험 기능성 커"
(이슈타임)박혜성 기자=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노동당 창건일에 '인공위성' 발사 준비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8일 일본 매체 교도통신은 김정은 제1위원장이 올해 노동당 창건 70주년인 오는 10월 10일에 맞춰 장거리 미사일 실험으로 의심되는 '인공위성' 발사 준비를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 제1위원장은 올해 초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에 직접 발사 준비를 명령했다. 미국 외교소식통은 조선중앙통신이나 국가우주개발국의 발표로 드러난 상황이 발사 지시 정보와 합치한다고 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3일 김 제1위원장이 새로 완공된 국가우주개발국 위성관제종합지휘소 시찰을 보도하면서 지난 8일 '위성을 필요한 시기에 정해진 장소에서 계속 발사한다는 것은 우리의 불변의 입장'이라는 담화를 발표한 바 있다. 교도통신은 한국'미국'일본은 북한이 사실상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실험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경계하고 있으며 발사를 저지하기 위해 관계국의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이와 관련해 외교 소식통은 김 제1위원장이 최근 러시아 승전기념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원인 중의 하나가 러시아 측이 북한에 핵실험이나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만류했기 때문일 것이라는 뜻을 내비쳤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북한은 지난 2012년 12월 12일 위성운반로켓 은하 3호라며 장거리탄도미사일 대포동 2호 개량형을 발사했고 은하 3호가 예정대로 궤도에 진입했다고 주장했다. 위성발사용 로켓과 핵탄두를 탑재하는 장거리탄도미사일은 비행제어 등 기술적인 측면이 같아서 북한의 위성 발사 목적은 사실상의 로켓 발사 실험으로 간주된다.
김정은이 북한 노동당 창건일에 ICBM으로 보이는 인공위성 발사 준비를 지시했다.[사진=itechpost]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정치
이 대통령, 취임 후 첫 한·중 정상회담…APEC 정상회의 마무리
강보선 / 25.11.01

경기남부
안산시, 시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11월 14일까지 접수
장현준 / 25.11.01

사회
진천군, 청년 톡톡(Talk Talk) 소통 릴레이 이어져
프레스뉴스 / 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