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지출 12개 항목 중 교육비 소득계층별 지출 격차 가장 높아
(이슈타임)백재욱 기자=지난해 고소득층의 교육비 지출액이 저소득층의 8배에 이르는 등 교육 양극화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7일 통계청의 '2014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가 교육비로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52만9400원으로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 6만6800원의 7.93배에 달한다.' 소득 수준별로는 2분위 20만700원, 3분위 27만5700원, 4분위 35만3000원 등이다.'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비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것이다. 소득 5분위와 1분위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각각 812만9500원, 146만500원이다.' 두 집단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각각 398만6900원, 125만7100원이다. 소비지출의 12개 항목 중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지출액 차이가 가장 큰 분야는 바로 교육비(7.93배)였다. 교통(5.01배), 오락'문화(4.86배), 의류'신발(4.58배), 기타 상품'서비스(4.37배), 음식'숙박(3.89배) 등도 소득계층별 지출 격차가 큰 항목에 속한다. 반면에 보건(1.81배), 식료품'비주류음료(1.71배), 주거'수도'광열(1.60배), 주류'담배(1.40배) 등은 상대적으로 지출 차이가 작았다.' 전문가들은 소득계층별 교육비 지출 차이가 큰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연세대 모 교수는 '고소득층 자녀는 양질의 추가 교육(사교육)을 받고, 저소득층 자녀는 기본적인 학교 교육(공교육)만 받으면 부모'자녀 세대 간 계층의 고착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건국대 최모 교수와 경희대 민모 교수의 최근 논문에 따르면 두 교수가 지난 2004년 중학교 3학년이었던 2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보다 양질의 교육을 시켰다.' 그 결과 고소득층 부모를 둔 자녀일수록 10년 뒤 임금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교육 양극화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백재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안양시, 대규모 건축물 건축공사장 22곳 특별 안전점검 완료
장현준 / 25.11.07

문화
화성시 역사박물관 제10회 유물 기증·기탁자의 날 행사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7

국회
경기도의회 조미자 의원, 경기북부상상캠퍼스 조성으로 경기 남·북부 지역문화격차 해...
프레스뉴스 / 25.11.07

국회
경기도의회 김진명 의원, "고3 운전면허 취득비 지원 실효성 재검토, 학...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의정부시, 기부자 명예의 전당 등재 52명 대상 모바일 감사장 발송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의왕시, '건강한 마음, 건강한 일' 의료 급여 특화사업 성료
프레스뉴스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