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층 교육비 지출액 저소득층의 8배···양극화 갈수록 심해져

백재욱 / 기사승인 : 2015-02-28 20:58:2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소비지출 12개 항목 중 교육비 소득계층별 지출 격차 가장 높아
교육 양극화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이슈타임)백재욱 기자=지난해 고소득층의 교육비 지출액이 저소득층의 8배에 이르는 등 교육 양극화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7일 통계청의 '2014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가 교육비로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52만9400원으로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 6만6800원의 7.93배에 달한다.'

소득 수준별로는 2분위 20만700원, 3분위 27만5700원, 4분위 35만3000원 등이다.'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비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것이다.

소득 5분위와 1분위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각각 812만9500원, 146만500원이다.'

두 집단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각각 398만6900원, 125만7100원이다.

소비지출의 12개 항목 중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지출액 차이가 가장 큰 분야는 바로 교육비(7.93배)였다.

교통(5.01배), 오락'문화(4.86배), 의류'신발(4.58배), 기타 상품'서비스(4.37배), 음식'숙박(3.89배) 등도 소득계층별 지출 격차가 큰 항목에 속한다.

반면에 보건(1.81배), 식료품'비주류음료(1.71배), 주거'수도'광열(1.60배), 주류'담배(1.40배) 등은 상대적으로 지출 차이가 작았다.'

전문가들은 소득계층별 교육비 지출 차이가 큰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연세대 모 교수는 '고소득층 자녀는 양질의 추가 교육(사교육)을 받고, 저소득층 자녀는 기본적인 학교 교육(공교육)만 받으면 부모'자녀 세대 간 계층의 고착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건국대 최모 교수와 경희대 민모 교수의 최근 논문에 따르면 두 교수가 지난 2004년 중학교 3학년이었던 2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보다 양질의 교육을 시켰다.'

그 결과 고소득층 부모를 둔 자녀일수록 10년 뒤 임금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