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취업자 수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596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3만8000명 증가했다.
신규 취업자 수의 증가 폭은 지난 2월 83만5000명을 정점으로 3월 64만9000명, 4월 58만1000명, 5월 41만3000명, 6월 39만8000명으로 줄었다.
이후 지난 7월 50만5000명, 8월 59만4000명을 기록하고 나서 9월 45만1000명, 10월 40만6000명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다.
지난달 고용률은 60.8%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포인트 올랐다. 15∼64세 고용률(OECD 비교기준)은 65.9%로, 같은 기간 0.6%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대별 1년 전 대비 신규 취업자 수를 보면 60세 이상은 22만1000명, 50대는 19만3000명, 20대는 4만4000명 증가했고, 인구 자체가 감소 중인 30대는 3만4000명 줄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5만8000명, 9.8%), 도매 및 소매업(13만6000명, 3.6%), 제조업(10만2000명, 2.4%), 건설업(8만4000명, 4.7%) 등에서 신규 취업자 수가 늘었다.
반면 농림어업(-8만5000명, -5.4%),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만3000명, -4.3%) 등에서는 줄었다.
임금근로자는 1908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50만9000명(2.7%) 늘었다. 그 중 상용근로자는 33만2000명(2.8%), 임시근로자는 14만6000명(2.9%), 일용근로자는 3만1000명(1.9%) 각각 증가했다.
같은 기간 비임금근로자는 688만7000명으로 7만1000명(-1.0%) 감소했다. 자영업자가 9000명(0.2%) 증가한 반면, 무급가족종사자는 7만9000명(-6.1%) 줄었다.
취업시간대별로 보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2202만명으로 21만9000명(1.0%) 늘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363만8000명으로 22만4000명(6.6%) 증가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4.2시간으로 1년 전보다 0.2시간 줄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2.7%로 작년 같은 달보다 0.6%포인트 올랐다.
구직활동 인구가 늘면서 실업률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달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라갔다. 청년(15∼29세) 실업률도 7.9%로 같은 기간 0.4%포인트 상승했다.
실업자 수는 81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만8000명(16.8%) 늘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49만명으로 5만8000명(13.4%), 여자는 32만8000명으로 6만명(22.4%) 각각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가사(-7만명, -1.2%), 휴식(-6만6000명, -4.5%), 재학·수강 등(-5만9000명, -1.4%), 육아(-2만8000명, -1.9%) 등에서 줄어 1590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3000명(-0.7%) 감소했다.
취업준비자는 56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만명(5.7%) 늘고, 구직단념자도 42만7000명으로 27만4000명 증가했다.
한편 지난달 주당 36시간 미만으로 일하고 있지만 추가취업을 원하며 가능한 사람은 34만6000명, 비경제활동인구 중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했지만 조사대상 주간에는 취업이 가능하지 않은 사람은 4만4000명, 비경제활동인구 중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 주간에는 취업을 원하고 가능한 사람은 170만8000명이었다.
이들은 아르바이트를 하며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나 입사 시험 준비를 하는 학생 등 공식 실업률 통계에는 잡히지 않는 시간관련 추가취업 가능자, 잠재취업가능자, 잠재구직자다.
이들을 포함해 계산한 고용보조지표로 보면 지난달 '체감 실업률'은 10.2%다.
지난달 체감 실업률 10.1%보다 소폭 상승했다. 공식 실업률(3.1%)의 3배가 넘는 수준이다.
심원보 고용통계과장은 "지난해 같은 달의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컸던 것을 고려하면, 이번 달은 40만명대라도 상당히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했고, 특히 연초에 비해 분양 물량과 주택 매매가 늘어난 영향으로 건설업에서도 취업자 수가 상당히 증가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금융
하나은행, 모바일뱅킹 앱 하나원큐에서 『병역판정검사 신청』 서비스 제공
류현주 / 25.11.07

사회
전진선 양평군수, '2025년 도전! 청렴 골든벨' 시상식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익산시 농업의 미래를 보다, '2025 익산 농업기계박람회' 성료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전북 곳곳에 나눔 실천… 신원케미칼 대표, 임실군에 기부금 기탁
프레스뉴스 / 25.11.07

문화
문체부, 황석영 작가 '금관 문화훈장' 수훈 · '어쩌면 해...
프레스뉴스 / 25.11.07

경제일반
농식품부, 10월 케이-푸드 플러스(K-푸드+) 수출 112.4억불로 전년 대비 ...
프레스뉴스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