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배 폭리' 암표업자 고강도 세무조사…교사·공공기관 직원도 포함

강보선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6 13:36:5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국세청, 17개 기업형 암표업자 세무조사
대리 티케팅·매크로 프로그램 판매·직접 예약링크 판매 등
▲안덕수 국세청 조사국장이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세무조사 브리핑에서 암표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세무조사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사진= 뉴스1)
[프레스뉴스] 강보선 기자= 국세청은 단순한 질서 위반의 수준을 넘어 국민 개개인의 정당한 권리를 빼앗으며 이득을 챙겨 온 암표업자들을 대상으로 세무조사에 나선다고 6일 밝혔다. 


특히 1인당 연간 판매 건수인 280여 건을 크게 넘는 거래량을 보인 공공기관 근무자와 사립학교 교사를 포함해 기업형 암표업자 등에 대해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한다.

이들은 온라인 플랫폼 등에서 티켓 재판매와 대신 예매하는 대리 티케팅, 매크로 프로그램 판매, '온라인 새치기'를 조장하는 직접 예약링크 판매 등으로 수만 건 이상 거래해 최소 200억 원이 넘는 암표를 유통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덕수 국세청 조사국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17개 업자 중 법인은 3개 업체고 나머지는 개인"이라며 "공공기관 근무자의 경우 매크로를 통해서 표를 매집한 후 중고나라 플랫폼에 수백건을 팔아 4억 원 이상 수익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국세청은 우선 온라인 플랫폼·중고거래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암표업자를 대상으로 조사에 나선다.

이들은 수년에 걸쳐 4만 건 이상의 주요 입장권을 확보한 후 정가의 최대 30배에 달하는 폭리를 취하며 암표를 판매했다.

또 일부는 중고거래 게시판을 통해 자신의 판매 내역이 드러나는 것을 회피하고자 대금을 개인 계좌로 수취한 후 '판매 완료' 처리를 하지 않은 채 티켓 판매 게시물을 삭제하는 등 의도적인 수익 은닉 행태를 보였다.

티켓 구매를 대신해 주는 대리 티케팅 전문 암표업자도 조사 대상이다.

이들은 전문 노하우를 갖추고 조직적인 사업체로 발전하며 고수익을 올렸다. 그럼에도 수수료 수입을 과소 신고하고 고가의 외제차를 몰면서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혜택을 받았다.

특히 차명계좌를 이용해 수입금액을 분산하고 세금을 축소하거나, 빼돌린 소득으로 수억 원 대의 국내·해외주식을 매수한 사례도 확인됐다.

또한 매크로 프로그램을 티켓 예매희망자에게 직접 판매한 업자도 세무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이들은 2010년대 중반부터 매크로 프로그램을 판매해 온 것으로 추정되며, 수천 건의 판매 이력을 자랑하면서도 수익은 차명계좌 등으로 받아 신고를 누락한 채 개인적으로 유용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새치기'를 조장하는 직접 예약링크 판매업자도 세무조사를 받게 됐다.


금융추적과 금융정보분석원(FIU) 정보 등 가용수단을 활용해 암표 현금거래를 확인하고, 세금을 추징할 계획이다.

국세청은 앞으로도 국민의 일상생활에 해를 끼치는 악의적 영업행태를 살펴보면서 탈루행위를 선제적으로 포착해 엄정 대응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