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출 전망 어두워 무역의존도 계속 낮아질 것 전망
(이슈타임)신원근 기자=지난 해 우리나라의 수출이 급감해 무역의존도가 크게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한국은행은 지난 해 국민총소득(GNI) 대비 수출입 비율은 88.1%로 2014년 98.6%보다 10.5% 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 통계는 우리나라의 수출입 총액을 국민이 국내외에서 생산활동으로 벌어들인 명목 총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경제의 무역의존도를 나타낸다. 지난 해 GNI 기준 무역의존도는 2007년 81.6% 이후 8년 만의 최저치다. 무역의존도는 한국의 수출 규모가 커지면서 전반적으로 상승했지만 2000년대 초중반 60∼70%대에 머물렀고 2007년에 처음 80%를 넘어섰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내수가 주춤하고 수출 위주로 성장하면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 이어지고 있다. 2008년에는 104.5%로 처음 100%를 돌파했고 2009년(94.6%)과 2010년(99.8%)에는 90%대로 떨어졌지만 2011년 113.5%로 반등했다. 그러나 이후 2012년 112.8%, 2013년 106.1%, 2014년 98.6%에 이어 지난해 88.1%로 4년 연속 떨어졌다.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는 30%대인 일본, 미국 등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내수시장을 활성화해 무역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우리나라가 수출 강국으로 성장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세계 경제의 ∼외풍∼에 취약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 경제가 활기를 띠면 우리 경제도 좋아지지만 반대로 대외 여건이 악화될 경우 타격이 클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문제는 지난해 무역의존도의 하락이 내수 시장 확대보다 수출 감소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는 점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무역의존도가 낮아진 것은 유가 하락 등으로 수출입 규모가 축소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상품 수출액은 5488억 달러로 전년보다 10.5% 줄었고 상품 수입액은 4285억 달러로 18.2% 급감했다. 중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 등으로 세계 교역량이 위축되면서 우리나라의 무역이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세계무역기구(WTO)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의 교역액은 2014년보다 11.8%나 줄었다. 소규모 개방경제가 특징인 우리나라에서 수출 부진은 성장률 저하와 직결된다. 게다가 올해도 수출 전망이 어둡기 때문에 무역의존도는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1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3월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는 1160억 달러로 지난 해 동기보다 13.1% 줄었고 수입액도 936억 달러로 16.3% 감소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수와 수출이 함께 확대되면서 무역의존도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현재 우리나라는 수출 감소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
지난 해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가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사진=MBC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절기 '입동' 전국 맑고 포근...내륙 짙은 안개 주...
강보선 / 25.11.07

사회
횡성군-한국농어촌공사, 안흥지구 농촌공간정비사업(농촌특화지구형) 위‧수탁 협약 체...
프레스뉴스 / 25.11.06

정치일반
오영훈 제주도지사, 통일부 장관과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 논의
프레스뉴스 / 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