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증가율은 3년째 0%대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지난해 저금리의 영향으로 시중 통화량이 비교적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 대비 8.7% 이후 5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이다. 지난해 M2 통화량이 크게 증가한 것은 기준금리 인하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15년 12월 중 통화 및 유동성… 자료를 보면 작년 통화량(M2…광의통화)의 평균잔액(원계열 기준)은 2182조9000억원으로 2014년(2009조5000억원)보다 8.6% 늘었다. M2의 연간 증가율은 2011년 4.2%, 2012년 5.2%, 2013년 4.8%를 기록했다가 2014년 6.6%로 크게 늘었다. 금융상품별로 보면 지난해 현금통화의 평균잔액이 70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0.6% 급증했다. 요구불예금은 159조9000억원으로 23.6% 늘었고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은 406조5000억원으로 16.4% 증가했다. 반면에 2년 미만 정기예적금은 880조9000억원으로 2014년(880조5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증가율은 2013년 0.1%, 2014년 0.8%에 이어 3년째 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또 지난해 협의통화(M1)의 평균잔액(원계열)은 636조6000억원으로 2014년보다 18.6% 늘었다. M1은 현금과 수시입출식 예금, 요구불 예금을 합친 것으로 고금리를 쫓아 언제라도 움직일수 있는 단기성 부동자금으로 분류된다. M2에서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2년 미만 금융채 등을 제외한 지표다. 지난해 12월 M2의 평균잔액은 2246조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5% 증가했다. 전년 동월 대비 M2 증가율은 작년 4월 9%대에 올라섰고 9월에는 9.4%의 상승 지표를 나타냈다. 이후 10월에는 8.8%로 7개월 만에 8%대로 내려앉은 데 이어 11월에는 7.7%로 다시 떨어졌다. //////////////////////// …
작년 시중에 떠돌아 다닌 돈 2183조원…저금리 탓 8.6% 늘어[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절기 '입동' 전국 맑고 포근...내륙 짙은 안개 주...
강보선 / 25.11.07

정치일반
오영훈 제주도지사, 통일부 장관과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 논의
프레스뉴스 / 25.11.06

사회
횡성군-한국농어촌공사, 안흥지구 농촌공간정비사업(농촌특화지구형) 위‧수탁 협약 체...
프레스뉴스 / 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