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증가율 둔화로 주택 43.6%는 '보이는 그림의 떡'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저성장으로 소득증가율이 둔화하고 정규직 취업률이 낮아지면 서울에 있는 주택의 절반 이상이 청년층이 살 수 없는 주택 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등을 활용해 2014년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당시 25 29세였던 청년이 35 39세가 됐을 때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을 추산한 결과다. 20일 국토연구원의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1 2020년 경제성장률을 3.6%로 놓았을 때 2014년 25 29세인 청년은 10년 후 서울에 있는 주택 가운데 56.4%만 사들일 수 있었다. 수도권에 사는 35 39세의 소득을 월 342만9000원, 순자산을 1억453만원으로 놓고 소득과 자산, 주택담보대출 등을 고려했을 때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8421만원이라고 추정한 결과다. 같은 추정을 바탕으로 지역별로 35 39세가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을 보면 경기는 83.7%, 인천은 96.1%였으며 비수도권(부담 가능 주택가격 3억5224만원)은 울산 87.5%, 대구 89.0%, 부산 92.0%, 광주 97.4% 등이었다. 청년층이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의 비율은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면 급격히 줄었다. 원래 추정보다 경제성장률이 5% 가량 둔화해 청년층의 소득증가율이 낮아지면 서울의 주택 가운데 35 39세가 살 수 있는 주택은 47.8%에 그쳤다. 또 경제성장률이 둔화하는 것에 더해 상용근로자 비율이 5% 포인트 줄어들면 35 39세가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3525만원으로 하락, 서울에 있는 주택 가운데 46.4%만 사들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성장률과 상용근로자 비율의 하락과 더불어 월세가구 비중이 5%포인트 증가해 청년층의 순자산이 추가로 감소하면 35 39세가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은 40.8%에 머물렀다. 서울에 있는 주택 10채 가운데 6채는 청년층에게 말 그대로 그림의 떡 이 되는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런 추정마저도 집값이 2014년 실거래가에서 오르지 않는다고 가정했다는 점이다.
서울 주택가 전경.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안양시, 범계역 인근 열수송관 파열사고 군포시·GS파워(주)와 합동 대책회의 개최...
장현준 / 25.10.28

경제일반
김제사랑카드 사용 시 5% 캐시백 지급으로 할인혜택 확대(20%)
프레스뉴스 / 25.10.28

문화
사과계의 에르메스 문경감홍사과, 수도권 홍보 판촉 성료
프레스뉴스 / 25.10.28

국회
진주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정책연구용역 결과보고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8

사회
정읍시 한파 대책부터 시민의 날까지…이학수 정읍시장, 읍·면·동장과 현안 논의
프레스뉴스 / 25.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