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자금 목적이 63.3% 차지…회사원 68.4%·자영업 21.3%
(이슈타임)박상진 기자= 연 30%대인 고금리 대부업체에서 나간 돈이 올 들어 예년의 두 배 수준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업체 이용자가 크게 늘면서 수년째 감소세를 보이던 등록 대부업자 수도 증가세로 반전했다. 대부업체 이용자의 절반 이상은 생활자금을 위해 돈을 빌린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신용대출 금리가 최저 연 3 6%까지 떨어졌지만 신용도가 낮은 서민층은 마땅히 돈을 빌릴 곳이 없어 연 30%대의 고금리 대부업체 문을 두드렸다는 얘기다. 2015년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자료를 보면 올 6월 말 현재 총 대부잔액은 12조3401억원으로 작년 말(11조1592억원)과 비교해 6개월 새 1조1809억원(10.6%) 증가했다. 한 해 증가폭이 2013년은 1조3256억원, 2014년은 1조1432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올 들어 6개월 사이에 예년의 1년치가 증가한 셈이다. 대부 이용자 수는 6월 말 현재 261만4000명으로 6개월 전보다 12만1000명(4.8%) 늘었다. 대부 이용자는 2012년(-1만6000명), 2013년(-2만명)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4년 7000명 증가한 데 이어 올 들어 6개월간 폭증한 것이다. 특히 증가자의 대부분인 10만3000명은 자산 규모 100억원 이상의 대형업체에서 돈을 빌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대부금리는 법정 상한을 하향조정한 효과가 반영되면서 하락세를 이어갔다. 평균 대부금리는 2012년 말 32.7%, 2013년 말 31.9%, 2014년 말 29.8%를 기록한 데 이어 올 6월 말 현재 28.2%를 나타냈다. 금융위는 신용도가 낮아 제1, 2금융권에서 제대로 돈을 빌리지 못하는 서민층의 자금수요가 늘어난 것을 주된 증가 배경으로 분석했다. 등록 대부업자 수도 올 들어 증가세로 돌아섰다. 6월 말 현재 전체 등록 대부업자(대부중개업 포함)는 총 8천762개로 6개월 전보다 68개(0.8%) 늘었다. 등록 대부업자 수가 증가한 것은 2010년 상반기(1만4783개 1만5380개) 이후 5년 만이다. 등록 대부업체 수는 2010년 상반기를 제외하면 2007년 9월 말 1만8197개를 정점으로 감소세를 보여왔다. 특히 자산규모 100억원 이상의 대형업체 수는 6월 말 현재 168개로, 6개월 전보다 3곳 늘어 실태조사 집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위는 올 상반기 중 대부 중개업자(2018개 2106개)를 중심으로 전체 등록업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했다. 대부업자들이 영업확대를 꾀하면서 대부중개업자의 중개 규모도 규제 이전으로 확대됐다. 대부 중개 건수는 카드사 정보유출 사건 이후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한 비대면 대부 권유 영업이 제한되면서 2013년 하반기 46만7000건에서 2014년 하반기 40만6000건으로 크게 줄어든 바 있다. 그러나 올 들어 대부업체 영업실적이 크게 좋아지면서 올 상반기 중개 건수는 54만2000건으로 영업 제한 이전 실적을 오히려 웃돌았다. 하반기 중개금액도 2조3444억원으로, 영업규제 이전인 2013년 하반기(2조1574억원)보다 많았다. 중개수수료는 4.3%로 작년 하반기 대비 0.1%포인트 줄었지만, 중개수수료 수입은 1천8억원으로 작년 하반기 대비 701억원(43.8%) 늘었다.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생활자금 부족으로 돈을 빌린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를 보면 차입용도로 생활비(63.3%)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사업자금(14.2%), 다른 대출 상환용(8.8%) 순이었다. 생활비 용도라는 응답 비중은 작년 말과 대비해 2.7%포인트 증가한 반면, 사업자금 용도라는 응답 비중은 1.1%포인트 줄었다. 이용자의 직업은 회사원이 68.4%로 가장 많았고, 자영업자(21.3%), 주부(6.8%)가 그 뒤를 이었다. 거래자의 신용등급은 은행 대출상품을 이용할 수 없는 7등급 이하의 저신용자가 78.6%로 가장 많았다. 중간 등급인 4 6등급 거래자 비중도 21.4%나 됐다. 4 6등급 거래자 비중은 2012년 말 13.6%에서 2013년 말 19.8%, 2014년 말 21.6%로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올 들어서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돈을 빌린 뒤 갚을 때까지인 대부 이용기간은 1년 미만인 경우가 55.4%로 계약기간과 무관하게 대체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대부업 법정 최고금리가 하향 조정되고 대부업체 등록요건이 강화되면 영세 대부업자가 퇴출되는 등 대부시장이 재편되고 대부 증가세도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대부잔액 추이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성남시, 내년 38억원 투입해 장애인 252명에 공공일자리 제공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창의, 체험, 심리까지 꼼꼼히 챙겨야 진짜 교육특구! 노원구, 다양한 '미...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경기도, 김장철 맞아 9일부터 경기도산 농·축산물 구매 30% 할인행사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보령시, 지방 상생 자매결연 기관이 나섰다,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로 정착 노력
프레스뉴스 / 25.11.07

충북
옥천군, 폐소화기 전용 수거함 설치…안전하고 편리한 배출 환경 조성
류현주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