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연구원 보고서 "인상 직후에는 다소 회복"
(이슈타임)박상진 기자=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신흥국에서의 자본 이동에 영향을 주지만, 부정적인 충격은 인상 시점을 포함한 분기로부터 1분기 전에 집중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 스와르할리 아흐메드 연구원이 작성한 실무보고서를 보면 미국이 기준금리를 1%포인트 올린다고 가정할 때 신흥국으로부터 유출되는 자본의 액수는 인상 시점이 포함된 분기에 국내총생산(GDP)의 0.32%였지만, 그보다 한 분기 전에는 GDP의 0.89%였다. 인상 시점이 포함된 분기보다 2분기 전에 나타난 유출 효과는 GDP 대비 0.38%였다. 같은 조건일 때 인상 시점이 포함된 분기로부터 1분기 뒤에는 GDP 대비 0.43%의 유입 효과가 발생했지만, 2분기 뒤에는 유입 효과가 GDP 대비 0.03%로 감소했다. 이런 현상에 대해 아흐메드 연구원은 투자자들이 미국의 금리인상 직전에 나오는 언론 보도나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이어진 경제지표 동향을 보고 미리 위험예방 차원에서 신흥국에 대한 투자 편성을 조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아흐메드 연구원은 1982년부터 2006년 사이에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렸을 때 21개 신흥국에서 발생했던 자본 유출입 동향을 바탕으로 이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할 때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성남시, 내년 38억원 투입해 장애인 252명에 공공일자리 제공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경기도, 김장철 맞아 9일부터 경기도산 농·축산물 구매 30% 할인행사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보령시, 지방 상생 자매결연 기관이 나섰다,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로 정착 노력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창의, 체험, 심리까지 꼼꼼히 챙겨야 진짜 교육특구! 노원구, 다양한 '미...
프레스뉴스 / 25.11.07

충북
옥천군, 폐소화기 전용 수거함 설치…안전하고 편리한 배출 환경 조성
류현주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