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사 블랙홀' 중국 탓에 국내서도 연쇄 이동

박사임 / 기사승인 : 2015-12-23 17:33:0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대형사 기장은 중국행, 부기장은 LCC로 줄이동
대형사 기장은 중국행, 부기장은 LCC로 줄이동[사진=연합뉴스]


(이슈타임)윤지연 기자=중국 항공사들이 한국보다 두세 배 높은 임금으로 조종사 인력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면서 국내에서도 항공사 간에 연쇄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2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중국이 조종사 연봉을 최고 4억원대까지 부르는 등 러브콜을 보내면서 대한항공[003490]과 아시아나항공[020560]의 기장들이 중국으로 이직하는 것은 물론 부기장들이 더 빨리 승진할 수 있는 제주항공[089590] 등 저비용항공사(LCC)로 이직하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서 올해 퇴사한 조종사는 각각 50명 안팎에 이른다.

제주항공의 전체 조종사 300명(교육생 등 포함) 가운데 2014∼2015년 대한항공에서 이직한 조종사는 30명, 아시아나에서 이직한 조종사는 18명에 이른다.

제주항공 출범 때부터 따지면 현재 조종사 가운데 대한항공 출신은 50명, 아시아나 출신은 28명이다.

티웨이항공은 전체 조종사 165명 가운데 작년부터 대한항공에서 42명, 아시아나에서 8명이 옮겨왔다.

이스타항공 역시 조종사 148명 가운데 작년부터 대한항공에서 19명, 아시아나에서 25명이 이직했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장들이 중국으로 활발히 이직한 작년부터 부기장들은 국내 LCC로 자리를 옮긴 것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대한항공도 ∼대놓고∼ LCC 출신 경력직 부기장을 뽑겠다고 나섰다.

그동안 대한항공은 민경력 조종사와 군경력 조종사로 구분해 조종사를 선발했는데 이달 처음으로 ∼항공사 경력직 부기장 모집∼ 공고를 따로 냈다.

민경력 조종사는 비행시간이 총 1000시간이 넘으면 지원할 수 있는데 주로 조종사 자격증을 따고 해외나 국내에서 조종사 양성 교관활동을 하면서 시간을 채운 경우였다.

LCC에서 일하던 경력 조종사가 입사해도 제주 정석비행장에서 14개월동안 항공사 경험이 없는 출신들과 똑같은 교육을 받아야 했다. 교육비 1억여원도 본인 부담이다.

이 때문에 대한항공 한국인 조종사 약 2500명 가운데 LCC 출신은 20여명 정도다.

대한항공은 이번에 경력직 부기장을 따로 선발하면서 LCC 출신 조종사는 기종에 따라 1년 미만으로 교육기간을 줄일 계획이다. 그렇다고 이전 직장 근무 경력을 인정해주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LCC에서 기장 승진하는 게 빠르기에 굳이 대한항공으로 올 조종사는 많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았다.

이처럼 조종사 인력유출 문제가 화두가 된 가운데 현재 진행 중인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조종사와 사측의 임금협상에도 관심이 쏠린다.

대한항공 조종사노조는 조양호 회장의 임금 상승분만큼 인상해 달라고 선언적으로 요구하며 4차 협상까지 진행했다.

이날 조종사노조 게시판에는 ∼임금협상을 지켜보는 우리의 립장∼이라는 글이 올라와 눈길을 끌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