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파워 이동, 신흥국→선진국으로

박사임 / 기사승인 : 2015-12-21 17:50:2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내년 세계경제 성장은 신흥국이 아닌 선진국이 이끌 전망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사진=연합뉴스]

(이슈타임)윤지연 기자=내년 세계경제 성장은 신흥국이 아닌 선진국이 이끌 것으로 보인다.

21일 유엔의 '2016 세계경제 상황'전망 보고서(WESP)'에 따르면 내년 세계경제 성장에 대한 선진국의 기여도는 신흥국을 추월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이후 신흥국으로 넘어갔던 세계경제 성장의 중심축은 다시 선진국으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유엔은 밝혔다.

유엔은 내년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로 상반기에 비해 0.2%포인트 하향조정하면서 내년 선진(Developed)국 경제성장률은 2.2%로 그대로 둔 반면, 신흥(Developing)국은 4.3%로 0.5%포인트 내렸다.

내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6%, 유럽연합(EU)은 2.0%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2%대를 넘어설 것으로 유엔은 전망했다.

반면 내년에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6.4%로 둔화되고, 거대 신흥국인 브라질 경제는 -0.8%, 러시아는 0%, 남아프리카공화국은 -0.8% 성장해 경기침체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엔은 보고서에서 원자재 가격 급락과 대대적인 자본유출, 금융시장 변동성 증대로 신흥국의 경제성장률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으로 떨어진 것과 대조적으로 선진국 경제는 내년에 성장탄력을 얻을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은행은 '수년간 강력한 성장세를 기록해온 신흥국들은 이제 기로에 도달했다'면서 '2010년 이후 신흥국의 성장둔화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저성장시대의 개막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16년 세계경제 전망에서 내년 선진국의 세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 기여도가 43%까지 상승하는 반면, 신흥시장의 비중은 34%에 그쳐 선진국이 세계 경제성장을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성장을 주로 신흥시장이 주도해, 2013년까지만 해도 신흥시장의 세계 실질 GDP 성장 기여도가 47%에 달했고 선진국은 30%를 겨우 넘겼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0월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3.6%로 지난 7월 전망치에 비해 0.2%포인트 하향조정하면서, 선진국 경제는 2.2%, 신흥국 경제는 4.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3%로 5개월 만에 0.5%포인트 내리면서, 미국 경제는 2.5% 성장할 것으로 내다본 반면, 중국경제는 6.5%, 브라질 경제는 -1.2%, 러시아는 -0.4%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 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