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명 중 1명꼴 연간 가처분소득 1156만원 이하 빈곤층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지난해 평균 가구소득은 소폭 늘었지만 국민 6명 중 1명은 연간 처분가능소득이 1156만원 이하인 …빈곤층…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안전망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직장 은퇴 등으로 인한 노후 대책에 대한 불안감은 커졌다. 다만 저소득층 자산이 상대적으로 많이 늘면서 소득분배 지표는 호전된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평균 가구소득은 4767만원으로 2013년(4658만원)보다 2.3% 증가했다. 연간 처분가능소득은 3924만원으로 2.7%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소득원천별로는 근로소득이 3128만원으로 2013년보다 3.4% 늘고 공적이전소득은 239만원으로 13.2%나 증가했다. 반면 사업소득은 1143만원으로 1.4% 감소했고 사적이전소득(68만원)은 6.7%, 재산소득(189만원)은 0.5% 각각 줄었다.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별로 가구소득을 살펴보면 상용근로자 가구가 621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자영업자 가구는 5531만원이고 임시…일용근로자 가구는 2747만원으로 집계됐다. 가구주의 연령대별로는 가구주가 60세 이상인 가구의 평균 소득이 2884만원으로 전년보다 6.7% 늘어나 증가폭이 가장 컸다. 가구가 보유한 순자산 분포를 살펴보면 4억 이상 보유한 비율이 높아졌다. 올해 3월 말 현재 순자산을 4억원 이상 보유한 가구를 모두 합치면 20.9%로 작년 19.9%보다 1% 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현재 4억…5억원을 보유한 가구의 비율은 6.3%로 작년보다 0.7% 포인트 상승했다. 또 8억…9억원을 보유한 가구는 1.4%로 작년보다 0.3% 포인트,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가구는 4.2%로 0.1% 포인트 각각 올라갔다. 반면 자산이 1억원 미만인 가구는 36.2%로 작년보다 1.2% 포인트 줄었다. 우리나라에서 65세 이상 노인층의 비중이 커지는 가운데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 중 노후를 위한 준비에 대해 부정적인 응답이 55.2%로 작년(53.4%)보다 1.8% 포인트 늘었다. …잘 돼 있지 않다…는 응답이 38.0%로 2.4% 포인트나 늘었고 …전혀 돼 있지 않다…는 17.4%로 0.4% 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노후를 위한 준비가 …잘 돼 있다…는 응답은 7.4%로 1년 전보다 0.2% 포인트 줄었고 …아주 잘 돼 있다…도 1.4%로 0.2% 포인트 하락했다.
순자산 4억 이상 보유 가구 비중 20.9%…작년 대비 1%p….[사진제공=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성남시, 내년 38억원 투입해 장애인 252명에 공공일자리 제공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창의, 체험, 심리까지 꼼꼼히 챙겨야 진짜 교육특구! 노원구, 다양한 '미...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경기도, 김장철 맞아 9일부터 경기도산 농·축산물 구매 30% 할인행사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보령시, 지방 상생 자매결연 기관이 나섰다,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로 정착 노력
프레스뉴스 / 25.11.07

충북
옥천군, 폐소화기 전용 수거함 설치…안전하고 편리한 배출 환경 조성
류현주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