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높은 원가·비효율적 비용구조 개선해야"
(이슈타임)박상진 기자=화학,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경쟁국인 미국, 중국, 일본에 뒤처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내놓은 대한민국 주력산업의 글로벌경쟁력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주력 산업에 대한 미국 일본 중국 기업의 매출 증가율은 상승세로 돌아선 반면 우리나라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해운업의 경우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금융위기 이전인 2010년 40.08%에서 2014년 -16.53%로 크게 하락해 4개국 중 가장 낮은 수치로 분석됐다. 특히 경쟁국인 일본과 중국의 해운업 매출증가율은 2011년을 기점으로 성장세로 돌아선 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2년 이후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가는 등 상반된 추이 였다. 전기전자업의 경우 2010년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25.55%로 4개국 중 가장 높았으나 2014년에는 4.10%를 기록해 미국 5.94%, 일본 6.68%, 중국 9.84%보다 낮았다. 2010년 중국(40.10%)에 이어 23.03%의 높은 매출증가율을 보였던 자동차도 2014년 -0.36%로 하락해 최하위를 기록했다. 화학업의 경우 2010년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20.51%로 두 번째로 높았으나 2014년 -1.61%로 떨어져 4개국 중 가장 낮았다.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영업이익률 회복 속도도 경쟁국에 비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업의 경우 한국의 영업이익률은 2010년 5.92%로 다른 경쟁국보다 높았으나 2014년 3.96%로 하락해 미국 6.55%, 일본 5.27%보다 뒤처졌다. 자동차업은 2010년 7.54%에서 2014년 3.77%로 감소해 미국 8.84%, 일본 5.91%보다 영업이익률이 낮았다. 신현한 연세대 교수는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하락하고 있는 원인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매출원가율을 들었다. 특히 화학업에서 미국의 매출원가율은 약 30%대로 낮은 수준이지만 한국, 일본, 중국의 매출원가율은 60%를 넘어서는 등 효율성이 낮은 비용구조를 보였다. 또 한국은 자동차업에서 가장 높은 매출원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전기전자업, 해운업에서도 중국과 유사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신 교수는 매출원가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서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계속 뒤처질 수밖에 없다 고 말했다.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경쟁국인 미국, 중국, 일본에 뒤처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성남시, 내년 38억원 투입해 장애인 252명에 공공일자리 제공
프레스뉴스 / 25.11.07

충북
옥천군, 폐소화기 전용 수거함 설치…안전하고 편리한 배출 환경 조성
류현주 / 25.11.07

경기남부
경기도, 담배소비세 소송 대법원 최종 승소. 259억 원 세수 지켜
장현준 / 25.11.07

사회
횡성군-한국농어촌공사, 안흥지구 농촌공간정비사업(농촌특화지구형) 위‧수탁 협약 체...
프레스뉴스 / 25.11.06

정치일반
오영훈 제주도지사, 통일부 장관과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 논의
프레스뉴스 / 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