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임금근로 일자리 총 1705만개…전년대비 3.4%↑
(이슈타임)박상진 기자=20대 임금근로자 중 절반가량은 취업 후 1년 안에 일자리를 옮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4년 임금근로 일자리 행정통계'를 보면 지난해 임금근로 일자리는 1705만3000개로 전년보다 3.4%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 한 기업체에서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를 뜻하는 '지속 일자리'는 전체의 69.1%를 차지했다. 기업체가 새로 생겨 만들어진 일자리나 기업 안에서 근로자가 바뀐 일자리를 뜻하는 '신규채용 일자리'는 30.9%였다. 신규채용 일자리는 527만1000개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에서 30대가 27.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다음이 40대(26.8%), 50대(18.9%), 20대(18.0%), 60세 이상(7.5%) 순이었다. 안정성 측면에서 보면 20대의 일자리가 30'50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에서 지속 일자리 비중은 52.2%로, 30대(73.0%), 40대(75.7%), 50대(74.5%)보다 20%포인트 이상 낮았다. 19세 이하는 14.9%로 20대보다 더 낮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는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연령대인데, 처음부터 안정적인 일자리를 잡지 못해 일단 취직하고 본 뒤 이직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임금금로 일자리는 모든 연령대에서 전년보다 증가했다. 특히 50대가 지난해 늘어난 임금근로 일자리 중 34.8%를 차지해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그다음이 40대(28.3%), 60세 이상(21.5%), 20대(10.8%)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자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의 61.3%를, 여자는 38.7%를 차지했다. 남자(1046만개)는 여자(659만3000개)보다 1.6배 많은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다만 지난해 증가한 임금근로 일자리(55만6000개) 중에선 여자가 29만1000개로 52.3%를 차지해 남자보다 점유율이 높았다. 근속기간별로는 1년 미만인 임금근로 일자리가 29.2%로 가장 많았다. 1'3년 미만은 28.5%, 5'10년 미만이 13.3%, 3'5년 미만이 11.4% 순이었다. 종사자규모로는 300인 이상 기업체의 임금근로 일자리가 전체의 43.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가율로는 50인 미만 기업체가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법인별로는 존손기간이 10년 이상된 회사가 제공하는 임금근로 일자리가 전체의 66.2%를 차지했다. 또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인 회사의 일자리 비중이 57.8%로 집계됐다. 공공 부문 임금근로 일자리(268만개)는 15.7%를 차지했다. 일자리 수는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의 24.7%를 공급하고 있다. 그다음이 도매 및 소매업(10.2%),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1%), 건설업(8.6%) 순이었다.
임금근로 일자리 행정통계'를 보면 지난해 임금근로 일자리는 1705만3000개로 전년보다 3.4% 증가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성남시, 내년 38억원 투입해 장애인 252명에 공공일자리 제공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창의, 체험, 심리까지 꼼꼼히 챙겨야 진짜 교육특구! 노원구, 다양한 '미...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경기도, 김장철 맞아 9일부터 경기도산 농·축산물 구매 30% 할인행사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보령시, 지방 상생 자매결연 기관이 나섰다,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로 정착 노력
프레스뉴스 / 25.11.07

충북
옥천군, 폐소화기 전용 수거함 설치…안전하고 편리한 배출 환경 조성
류현주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