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학회 심포지엄… "정년제, 사업장별로 택하도록 개편해야"
(이슈타임)윤지연 기자=우리나라가 출산율 저하에 따른 고령화로 앞으로 15년 후에는 연간 경제성장률이 1%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이재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경제학회 2015년도 동계 정책심포지엄'에서 고령화 추세를 감안해 우리 경제의 성장 전망치를 이같이 추정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합계 출산율이 1.2명에 그치는 등 빠른 고령화의 영향으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내년부터 감소해 2020년부터는 연간 1'2%씩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최근 3.0% 안팎에서 2020년대에는 2%대 초반으로, 2030년대에는 1%대에 머물 수 있다고 이 연구위원은 전망했다. 특히 2031'2035년 실질 GDP 증가율은 1.4%로 제시됐다. 실질 GDP 증가율에 저축 같은 물적자본이 0.5%, 대외개방도'연구개발투자 등 총요소생산성이 1.3% 기여하지만 취업자 감소가 GDP를 0.4% 낮춘다는 것이다. GDP 증가율 기여도는 2001'2010년의 경우 물적자본이 2.0%, 총요소생산성이 1.6%, 취업자 수가 0.7%로 분석됐다. 가용 노동력 감소와 자본의 축적률 저하가 2030년대까지 크게 떨어지면서 경제 성장률을 낮출 것으로 이 연구위원은 예상했다. 그는 '우리 경제의 연령대별 고용률이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가더라도 성장 추세의 저하를 상쇄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주요 원인으로 65세 이상의 고령층 급증을 들었다. 또 고령화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를 막는 대책으로 노년세대의 경제활동 제고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연구위원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 비중이 커진 점 등을 근거로 고령 친화적인 노동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년 제도는 사업장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개편하고 유연한 연금수령 조건으로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 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준경 KDI 원장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 기조로 소득분배가 악화되고 세대 간 격차가 확대되면서 사회통합의 힘이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 개혁 및 규제개혁, 부실기업 구조조정, 노동시장 개혁 및 교육의 질 제고를 통한 창조적 인력을 양성하는 구조개혁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좌승희 영남대 석좌교수는 한국 경제의 성장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육성정책을 성과중심으로 전환하고 대기업에 대한 투자 규제를 획기적으로 자유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한국경제학회 2015년도 동계 정책심포지엄'에서 고령화 추세를 감안해 우리 경제의 성장 전망치를 이같이 추정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성남시, 내년 38억원 투입해 장애인 252명에 공공일자리 제공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창의, 체험, 심리까지 꼼꼼히 챙겨야 진짜 교육특구! 노원구, 다양한 '미...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경기도, 김장철 맞아 9일부터 경기도산 농·축산물 구매 30% 할인행사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보령시, 지방 상생 자매결연 기관이 나섰다,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로 정착 노력
프레스뉴스 / 25.11.07

충북
옥천군, 폐소화기 전용 수거함 설치…안전하고 편리한 배출 환경 조성
류현주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