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개사 부채비율 200%↑·영업손실·당기순손실 '3대 악재'
(이슈타임)윤지연 기자=국내 2천대 기업 가운데 약 5.9%인 117개사가 부채비율 200% 이상, 영업손실, 당기순손실 등 3대 악재에 직면해 '위험 경고등'이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 IMF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보다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을 낸 기업 비중이 늘어났다. 기업분석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는 최근 국내 2천대 기업 위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18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상장'비상장사 중 매출 기준이며 금융업은 제외됐다. 조사결과 작년 한해 2천대 기업 중 부채 비율이 200%를 넘은 곳은 295개사(14.8%)나 됐다. 통상 제조업에서는 부채비율이 200% 이하여야 재무구조가 건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부채비율 200~300%는 108곳, 300% 이상 기업은 56곳, 400%가 넘는 기업은 93곳이다. 자기자본이 잠식된 기업도 38곳이다. 부채비율 200% 이상 기업 중 대기업은 76곳, 중견기업은 39곳이고 중소기업이 180곳이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45곳으로 최다. 전자(41곳), 무역'유통업(28곳), 기계(23곳) 등도 많은 편이었다. 2천대 기업 중 영업손실을 본 기업은 494개사(24.7%)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올렸지만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기업은 616곳(30.8%)으로 더 많았다. 3가지 지표의 공통분모로 부채비율 200% 이상과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기업이 총 117곳이나 됐다. 이들 기업에 소속된 직원은 4만7천290명으로 2천대 기업 전체 직원의 2.9%를 점했다. 이들 기업의 총 부채총액은 53조3천944억원, 자본총액은 10조490억원으로 평균 부채비율이 508%에 달했다. IMF 외환위기 직전과 비교하면 기업 경쟁력이 더 나빠졌다고 CXO연구소는 평가했다. 1996년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을 낸 기업 비중은 각각 10.5%, 18.6%였으나 지난해 영업손실 기업은 23.8%, 당기순손실을 낸 기업은 28.4%로 외환위기 이전보다 급증했다. 오 소장은 '국내 경제에 더 큰 위기가 찾아오게 하는 위험 요소를 줄여나가기 위한 차원에서 경쟁력이 상실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선제적인 매각'합병 작업을 하거나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것은 어느 정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조조정을 해야 할 기업은 숫자면에서 중소기업이 훨씬 많지만 부채규모 및 기업부실을 감안할 때 국내 경제에 미칠 파급력은 대기업이 더 크다'고 덧붙였다.
IMF 외환위기 직전보다 영업손실 낸 기업 배 이상 늘어난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연예
'불꽃야구' 신재영, 출근하자마자 파이터즈의 시선 한 몸에! ‘자숙...
프레스뉴스 / 25.11.07

국회
강화군의회, 정책지원관 임용으로 전문적 의정활동 기반 강화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부산교육청, 맞춤형 특화 지원으로 직업계고 취업률 높인다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청양군, 충남 공무원 드론조종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천안시, 농림부 농기계임대사업소 사업 공모 ‘충남권 유일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기업·고객·지자체가 함께하는 사회공헌 사업 서대문구에서 결실
프레스뉴스 / 25.11.07

문화
안산시, 2025년 통장연수 개최… 시민과 행정 잇는 소통의 장 마련
프레스뉴스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