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근해 어자원 보호를 위한 종합대책 마련 시급

박사임 / 기사승인 : 2015-11-15 12:44: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명태·쥐치 사라지고, 서해서 오징어 '이상 풍년'
부산공동어시장에 위판된 고등어 경매 모습이다.[사진제공=부산어시장]
(이슈타임)김미은 기자="옛날에는 한번 투망에 180t짜리 운반선 어창을 다 채우는 경우도 많았는데, 지금은 수십번 투망을 반복해야 합니다. 고기들이 다 어디갔는지" 씨알이 큰 놈은 아예 보이지도 않습니다."고등어를 주로 잡는 부산의 대형선망 조합 소속 선단의 한 어로장의 하소연이다.

그는 "서해로 들어오는 고등어 회유 길목에서 중국어선들이 싹쓸이 조업을 하는 탓에 서해 고등어 어획량이 예전만 못하다"며 "몇년 전만 해도 하루에 3"4회 투망하면 운반선 어창을 가득 채웠지만 지금은 며칠을 작업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물고기의 씨가 말라가고 있다.고등어뿐만 아니라 과거 "국민 생선" 자리를 차지했던 명태는 동해안에서 이제 거의 자취를 감췄다. 밥상의 단골 반찬이었던 연근해산 참조기, 가자미 등도 밥상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1980년 152만t이던 연근해 총 어획량은 1990년대 평균 137만t으로 떨어진 뒤 2000년대에는 115만t으로 급감했다.1980년 어획량과 2014년 어획량(106만t)을 비교하면 우리나라 연근해 어획량은 지난 25년 사이에 30% 가량 줄었다.

고등어, 삼치, 갈치, 전갱이 등 근해 어종이 주로 위판되는 부산공동어시장의 최근 위판물량을 보면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어자원의 고갈 실태를 그대로 볼 수 있다.

15년 전인 2000년 28만2천여t에 달하던 공동어시장 총 위판량은 2014년 16만9천여t으로 40%가 줄었다.이 가운데 고등어의 경우 2008년 13만5천여t에서 2014년 9만7천300t로 28%가량 감소했다. 삼치도 2008년 2만273여t에서 2014년 1만603t으로 절반가량 급감했다.

어종의 변화 또한 우리 수산업계가 새로이 직면한 문제다.1970"80년대에는 쥐치, 정어리, 갈치, 명태 등이 주로 어획됐으나 근래 들어서는 멸치, 오징어, 고등어가 주로 잡힌다.

1980년대 국내 연안의 대표적인 어종인 쥐치, 정어리, 명태는 2000년대 들어서면서 어획량이 급격하게 줄고 있다.1970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해와 2014년 어획량을 비교해 보자.

쥐치의 경우 1986년 어획량이 32만7천t에 달했으나 2014년에는 2천400여t에 불과했다. 정어리도 1987년 19만4천t에서 2014년 335t에 불과하다.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갈치는 그나마 나아 1974년 16만6천t에서 2014년 4만6천t에 그쳐 71.9%가 줄었다.명태는 1981년 16만5천t이 잡혔으나 2014년에는 2t에 불과해 동해안 명태잡이 어장은 사실상 소멸됐다.

어장의 변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살오징어는 1996년 최고 25만2천t이 어획됐으나 2014년 16만3천t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동해안에서 주로 잡히던 오징어가 서해안에서 대량 잡히는 "이상 현상"이 나타난다.

2012년 서해안 살오징어 어획량은 739t에 불과했지만 2013년에는 배가 넘는 1천493t으로 늘었다.2014년에는 8월 한달 어획량만 2013년 전체와 맞먹는 1천381t이 잡힌데 이어 한해 모두 2천481t에 달해 "오징어 풍어"를 이뤘다.

서해안에서 많이 잡히던 조기, 민어, 준치 등은 이제 구경조차 하기 어렵다.특히 "조기의 본고장"으로 불린 연평도 인근에서도 해마다 줄고 있다.

참조기의 경우 2011년 5만9천200여t이 잡혔으나 2014년에는 3만1천600여t에 그쳐 53% 줄었다.서해안의 어종 변화는 지구 온난화 등 환경적인 문제와 가뭄으로 인한 담수유입 감소, 천수만"새만금 방조제 건설 등에 따른 해양 환경 변화 등 다양한 원인이 꼽히고 있다.

충남도는 이 같은 해양 환경 변화에 따라 어민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에 나서는 등 대응책에 골몰하고 있다. 도는 20일 "기후변화 대응 맞춤형 어업인 전문 기술" 교육에 나선다.

충남도 관계자는 "전문가를 초청해 해양 환경 변화에 따른 어종 선택 및 양식업의 방향 등에 대해 특강을 진행하는 등 적응교육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고갈하는 연근해 어자원 보호를 위해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을 입법예고 하는 한편 어린 물고기 보호와 중국어선 싹쓸이 조업 등에 적극 대응하는 등 장기적인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