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스마트폰 시장 이어 반도체산업 진출 본격화

박사임 / 기사승인 : 2015-11-06 22:22:1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칭화유니, 반도체 생산라인 등에 14조3천억원 투자키로
중국 통팡궈신은 한 주당 29억 5천 만주를 발행한다고 밝혔다.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이슈타임)윤지연 기자=반도체 산업에 눈독을 들여온 중국이 11조 원 짜리 생산라인을 포함해 모두 14조 원 규모의 메모리반도체 투자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6일 차이나타임스 등 중국 경제매체들에 따르면, 국유기업인 칭화홀딩스의 칭화유니그룹(紫光集團 쯔광그룹)은 자회사인 퉁팡궈신(同方國芯)을 통해 800억 위안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퉁팡궈신은 전날 공시에서 한 주당 27.04위안에 29억 5000만주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전체 800억 위안 중 600억 위안은 메모리칩 공장을 짓는데 투입되며, 나머지 200억 위안은 대만리청(臺灣力成) 주식 25%를 매수하고 다른 반도체 기업을 사들이는 데 사용된다.

차이나타임스는 공장이 완성되면 매달 12만 개의 메모리칩 생산 능력을 보유하게 될 것 이라고 전했다.

또 칭화유니의 이번 유상증자는 2011년 옌후(鹽湖)의 유상증자를 뛰어넘는 중국 본토증시(A주) 사상 최대 규모라고 평가했다.

중국이 자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메모리반도체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로 함에 따라 이 분야에서 독주해온 한국에 대한 맹추격전이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1980년대 일본 업체들의 독주 체제였던 반도체 산업은 오늘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미국) 세 곳이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반도체 업계는 인수합병(M A) 광풍이 몰아치면서 지각변동시대를 맞고 있다.

특히 최근 칭화유니가 글로벌 톱5 낸드 플래시 기업 샌디스크를 우회 인수한 사건 은 반도체 업계를 발칵 흔들어 놓았다.

이 업체는 마이크론을 인수하겠다며 230억 달러를 제안했다가 미국 의회의 제동으로 실패하기도 했다.

중국은 지난해 6월 국가직접회로(IC) 발전추진요강을 발표하면서 1200억 위안을 쏟아부어 반도체 산업을 육성한다는 반도체 굴기(堀起) 를 선언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중국이 반도체 생산에 직접 뛰어든 상황에서 한국이 계속 점유율 고공행진을 이어갈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며 지속적인 혁신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