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협의회 "탄산음료 가격 너무 많이 올랐다"

박혜성 / 기사승인 : 2015-05-15 10:25:3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재료 가격 내렸는데 가격은 오히려 인상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탄산음료 가격이 과도하게 올랐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최근 탄산음료의 가격이 과도하게 인상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14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난 2010년부터 탄산음료 부문의 가격이 33% 인상돼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약 9%)를 큰 폭으로 웃돌았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서울지역 300개 유통업소의 소비자가격을 분석한 결과 출고가 인상으로 코카콜라(1.5ℓ) 소비자가격이 지난 2013년 12월 평균 2196원에서 지난 3월 2502원으로 13.9% 올랐다고 설명했다.

칠성사이다(1.5ℓ)와 펩시콜라(1.5ℓ)의 소비자가격 또한 같은 기간 각각 17.4%와 9.7% 인상됐다.

반면 이에 비해 원료값은 떨어지고 있다.

국제 원당가격 하락으로 국내 설탕 제조업체 3사인 CJ제일제당 삼양사 대한제당의 설탕 출고가격은지난 2011~2014년 평균 20.2% 내렸다.

협의회는 탄산음료의 원재료 가격도 같은 기간 12.2%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협의회는 그러나 이처럼 원재료 값은 내리는데 소비자가격은 오르는 현상이 음료산업의 독과점 구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코카콜라음료와 롯데칠성음료의 시장점유율이 80%를 넘는 상황에서 두 업체가 원가 절감분을 이윤으로 흡수하는 등 암묵적 담합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유통업계가 일정 유통마진율을 유지함으로써 가격 상승과 함께 유통업체의 주머니로 들어가는 돈이 자연스레 늘어난 점도 소비자 부담이 커진 이유다.

협의회 관계자는 음료회사와 유통업계는 잦은 가격인상과 마진 확대를 자제하고 국제 원자재가격 하락과 저물가 기조에 상응하는 가격정책 내놔야 할 것 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설탕의 경우지난 2013년 말까지 20%가량 하락했지만 최근 2014~2015년은 가격이 비슷했고, 설탕은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고 해명했다.

업계는 오히려 캔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라 가격 인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