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은퇴 후 연간 45000만원 있어야
(이슈타임)권이상·백민영 기자=우리나라 국민 은퇴후 생활비가 연간 4560만원 정도 필요하다고 기대하지만 실소득은 1000만원 이상 부족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최현자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피델리티자산운용의 의뢰로 가구주가 20세에서 59세인 2인 이상 도시 근로자 가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은퇴 연령을 60세로 가정할 때 은퇴 후 연간 456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고 14일 밝혔다. 또한 퇴직 직전 가구 소득은 7993만원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은퇴 후에도 직전 소득의 57%가량이 꾸준히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국민연금과 사적연금, 저축 등을 포함한 예상 은퇴 소득은 기대 생활비보다 1000만원 이상 밑도는 연간 3479만원이다. 은퇴 직전 소득의 44%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것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권고한 적정 소득 대체율인 60%에서 70%에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라고 최 교수는 덧붙였다. 은퇴 직전 소득 대비 은퇴 후 기대 소득 비율인 ·목표 소득 대체율·을 제외한 ·은퇴 준비 격차·는 지난 2년 전 피델리티의 같은 조사 때의 18%보다 5% 포인트 줄었다. 이는 지난 2년 전과 비교해 예상 은퇴 소득은 3506만원에서 3479만원으로 비슷하다. 그렇지만 은퇴 후 기대 생활비가 5800만원에서 4560만원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또한 소득 수준별로 은퇴 준비 정도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집단은 ·은퇴 준비 격차·가 -1%로 기대 소득보다 은퇴 소득이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가장 낮은 1분위 집단은 은퇴 준비 격차가 49%로 요구하는 돈보다 실제 소득이 크게 낮을 것으로 예상됐다. ·은퇴 준비 격차·는 30대가 12%로 가장 높았고 20·40·50대는 9%로 나타났다. 이는 30대가 기대하는 은퇴 후 소득과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은퇴 이후 소득 간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말한다. 최 교수는 ·은퇴 준비 격차가 개선된 것은 은퇴 준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한 것도 있지만, 국민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은퇴 생활비가 줄어든 영향도 있다·며 ·물가 상승률도 하락한 데다 직장인들이 은퇴 생활을 현실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라고도 덧붙였다. 또한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 하락으로 사적 대비의 중요성이 커져 재무 목표에서 은퇴 대비의 위치를 재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매월 일정 금액을 투자하기보다는 연봉 상승에 따라 투자 금액을 증액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은퇴후 필요 생활비가 실소득과 1000만원 이상 부족할 예상이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백민영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포항교육지원청, 2025년 장애학생인권지원단 하반기 운영 협의회 실시
프레스뉴스 / 25.11.07

문화
문체부, 황석영 작가 '금관 문화훈장' 수훈 · '어쩌면 해...
프레스뉴스 / 25.11.07

국회
대전시의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 대전교통공사 사장 임명후보자‘적격’의결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임실군, 2026년도 지방보조금 예산편성 위한 지방보조금 관리위원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