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에게 세금 부과도 모자라 행정적 누락까지
(이슈타임)백재욱 기자=국세청이 사망 여부도 확인하지 않은 채 800억원이 넘는 세금을 부과하는 등 조세행정의 빈틈을 보였다. 감사원은 지난 20일 국세청 본청과 기획재정부 세제실을 대상으로 한 '국세청 기관운영감사' 결과 보고서를 공개했다. ' 감사원이 체납세액 1000만원 이상으로 납세고지 이전에 사망한 납세의무자에 대한 과세 및 체납실태를 점검했다. 그 결과 국세청은 지난 2000년부터 지난 해 8월까지 사망자 1940명에 대해 3616건, 812억7800만원의 국세를 부과했다. ' 이에 따라 체납세액이 1298억9200만원에 달했다. 하지만 국세청은 잘못 부과한 국세를 정리하거나 상속인에 대한 부과방안 마련 등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 더욱이 세금이 부과된 사망자 중 1000만원 이상 상속재산이 있는 경우가 884명에 달했지만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 '국세기본법'에 따르면 사망자는 과세 효력이 없다. 납세 고지 이전에 사망한 납세 의무자에 대해서는 상속인 등에게 세금을 부과하도록 돼 있지만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 국세청은 국세부과 전산 입력화면에 사망 여부가 표시되지 않는다는 변명을 늘어놓았다.' 이에 별도의 확인도 없이 일률적으로 세금을 부과했으며, 감사원의 감사가 시작되자 전산 시스템을 보완했다.' ' 또한 국외송급 고액체납자가 버젓이 출국하는 등의 일도 있었다. 국세청은 해외부동산 취득을 위해 5만달러 이상을 국외로 송금한 적이 있고 5000만원 이상 세금을 내지 않은 고액체납자를 법무부에 출국금지 요청을 해야한다. ' 하지만 국세청은 현장에서 제대로 제출되지 않는 해외부동산 취득 보고서만 참고했다.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취득 신고 수리자료나 외국환 송금자료는 점검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고액체납자 11명이 출국금지 대상에서 누락됐다. ' 이어 대법원 판례까지 무시한 일명 '갑질'행위도 지적을 받았다. ' 대법원은 지난 2013년 6월 장례식장 사업자의 장례음식 공급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이라고 판결한 적이 있다. 감사원도 부가가치세 환급을 요구하는 경정청구를 거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통보한 바 있다.' ' 기획재정부는 이후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국세 예규를 만들었다. 하지만 면세 대상을 예규 신설 이후로 제한하는 내용을 임의로 포함했다. ' 일선 세무서는 이 같은 예규를 근거로 이전에 제기된 부가가치세 경정청구 306억원 상당을 전액 거부했다.' ' 감사원은 '잘못된 예규로 인해 소송 등 불복절차를 진행해야 하는 등 납세자 불편과 불필요한 소송 비용, 행정력 낭비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 감사원은 이들을 포함해 감사결과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주의 요구 및 통보하는 등 12건의 감사결과를 시행했다.'
국세청에서 조세행정에 허점이 드러났다.[기사와 무관]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백재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금융
하나은행, 모바일뱅킹 앱 하나원큐에서 『병역판정검사 신청』 서비스 제공
류현주 / 25.11.07

사회
전진선 양평군수, '2025년 도전! 청렴 골든벨' 시상식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익산시 농업의 미래를 보다, '2025 익산 농업기계박람회' 성료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전북 곳곳에 나눔 실천… 신원케미칼 대표, 임실군에 기부금 기탁
프레스뉴스 / 25.11.07

문화
문체부, 황석영 작가 '금관 문화훈장' 수훈 · '어쩌면 해...
프레스뉴스 / 25.11.07

사회
포천시, 2년 연속 '독서경영 우수 직장' 인증 "책으로 ...
프레스뉴스 / 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