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 이학영(새정치민주연합/경기 군포)의원은 수험생에게 이중부담 지우는 토익시험 접수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계속 되는 취업난으로 스펙 쌓기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치르는 시험인 토익시험 접수제도의 문제점이 심각하다. 토익성적표는 대부분의 기업을 비롯한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이 요구하는 것으로, 절대다수 취업준비생이 시험을 치르고 있다. 이 점을 이용하여 토익의 주관사인 YBM이 그 지위를 남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다음 회차 시험까지의 기간은 보통 15~30일인데, 토익성적은 시험일로부터 19일 후에 발표한다. 접수는 시험일 3일전에 마감되기 때문에 응시 후 다음 시험까지 23일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점수 확인을 하지 못한 채 다음 회차 시험에 접수를 해야 한다. 이는 확인하지 못 한 시험점수가 기대보다 낮을 경우를 대비한 보험과 같은 것으로, 시험성적만 확인 되었다면 접수할 필요가 없는 시험에 응하고 있는 것이다.
점수 확인 후 접수가 가능한 경우는 특별추가접수기간이기 때문에 10% 인상된 응시료를 내야한다.
JPT(일본어 검정능력시험), TEPS(실전영어능력평가)는 시험일로부터 9~10일후에 성적이 발표되는데, 시험 유형과 채점방식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유독 토익시험만 성적발표 기간이 10여일 긴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불합리한 접수기간의 문제도 있다. 2개월간 진행되는 접수는 각 1개월씩 정기접수와 특별추가접수로 나누어 진행되고, 특별접수기간에 접수하는 경우 기존 응시료에서 10% 인상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특별접수기간이 1개월이나 되는 이유가 응시료 수입을 늘리기 위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다.
이학영의원은 “사실상 시장지배적 위치에 있는 YBM이 지위를 남용하여 과도한 이익을 취하고 있다. 취업난에 허덕이는 취업준비생들의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기 위해서는 토익점수 발표기간을 단축해야하며, 정기접수기간을 늘리고 특별추가접수기간은 줄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공정위는 YBM의 시험관리규정을 검토한 후 수험생들에게 불공정한 규정 개정에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맹인섭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전국 맑고 일교차 커…오전 짙은 안게 주의
강보선 / 25.11.06

국회
제136차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울진군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5

경제일반
서귀포시, 보목·구두미포구 어촌신활력 증진사업 공모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농촌진흥청, 자색고구마 신품종 '보다미', 현장 평가회 열려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음성군·음성농협, 농촌 어르신 위한 ‘농촌 왕진버스’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5
















































